사유(思惟) 975

헤겔에 있어서 구별되어야 할 세가지 종류의 욕구

헤겔에 있어서 구별되어야 할 세가지 종류의 욕구 백 훈 승 전북대 이 글은 헤겔에 있어서 욕구의 의미와 발생 및 구조, 종류의 문제를 『정신현상학』 (1807)을 중심으로 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章에서 나타나는 '직접적인 욕구'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는 일이다. 헤겔에 있어서는 적어도 세 가지 종류의 욕구가 구별되어야 한다. 첫 째로는 욕구일반으로서, 이것은 자기의식의, 자기 자신과의 통일을 향한 욕구다. 이것은 모든 욕구의 근저에 놓여있는 욕구로서, 분열을 지양하고 하나인 상태, 자기동일성을 회복·유지하려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욕구다. 두 번째의 욕구는 직접적인 욕구로서, 이것은 생 (대상의식)을 향한 욕구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

사유(思惟) 2023.02.18

헤겔 철학에서 반성의 전개와 변증법의 형성

헤겔 철학에서 반성의 전개와 변증법의 형성 강 순전 독문 제목: Die Entwicklung der Reflexion und die Entstehung der Dialektik in der Philosophie Hegels 주제: 존재론, 논리학 주요어: 변증법, 논리학, 형이상학, 반성, 절대적 반성 요약문: 헤겔 철학에서 우리는 변증법(Dialektik)이라는 이름 아래 그의 철학방법론인 사변적 논리학을 이해한다. 그러나 변증법 혹은 변증론이라고 불리는 논리학의 분과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분석론(Analytik)에 대해 종속적인 위치를 점하는 것이었다. 헤겔에게서도 변증법은 처음에는 이 부정적 평가의 전통 하에서 이해되었다. 헤겔의 변증법에 대한 평가의 변화는 전통과의 단절 및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도덕 개념과 도덕의식의 발전

헤겔의 도덕 개념과 도덕의식의 발전 임 재 진(조선대 교수) 1. 서론 칸트에서 자연세계의 인식과 활동세계의 인식은 전혀 별개의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의 ‘비판’은 이성의 능력 자체를 따지는 작업으로서 서로 다른 영역에 관계하는 인식 능력에게 월권을 금지하고 각기 고유한 영역을 배당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각 영역의 인식에 있어 원칙을 주는 능력으로서의 순수이성은 활동의 영역에서는 의지를 규정하는 선험적이면서 순수한 원칙을 준다. 그러므로 그의 도덕철학에서는 정언명법과 그것의 원천으로서의 선의지 혹은 양심에 대한 구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헤겔은 ■■정신현상학■■의 거의 전 범위에 걸쳐 칸트철학과 대결한다. 특히 이성 장과 정신 장에서는 칸트의 도덕철학이 주요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사변명제와 실체형이상학 비판

사변명제와 실체형이상학 비판 고 현 범** 충북대학교 【주제분류】독일근대철학, 형이상학 【주 요 어】헤겔 사변명제 실체-형이상학 라이프니츠 정신현상학 논리학 【요 약 문】 본고는 헤겔의 사변명제이론을 판단형식에 대한 실체형이상학적 정초에 대한 비판의 맥락에서 살펴보려고 했다. 특히 라이프니츠의 “포함이론”은 그러한 정초의 대표적인 시도로 볼 수 있으며, 주어-술어 관계를 고정된 실체-속성의 관계로, 포함의 관계로 파악하고 있는데, 헤겔의 사변명제이론은 이런 관계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한다. 판단형식에 대한 라이프니츠식의 실체형이상학적인 근거지움은 그 전일적이고 일의적인 의미이해의 전제로서 “최고의 모나드”를 상정한다. 이 최고의 모나드는 주어에 “잠재적으로”혹은 즉자적으로 포함된 술어의 의미를 정초한다. ..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역사철학에 있어서 미래문제와 행동철학

헤겔역사철학에 있어서 미래문제와 행동철학 조 항 구(경북대) [한글 요약] 이 글은 헤겔역사철학에 대한 그의 후계자들의 비판을 다루고 결론적으로 그들의 비판의 성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치에스꼬프스키와 헤쓰는 헤겔역사철학이 과거의 철학일 뿐 미래에 대한 인식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헤겔역사철학비판은 두 가지 입장에서 출발한다. 첫째는 헤겔역사철학은 정신을 내면성의 영역에만 제한시킨다. 따라서 헤겔은 역사에서 어떤 의식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의 창조행위를 보지 못했다. 두 번째로 헤겔은 주어진 현실에 단지 관조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또 그 현실을 이상화했다. 따라서 그의 철학은 “과거의 철학”이다. 주어진 것으로서의 현실은 과거로부터 유래하고 헤겔은 이 과거만 철학적으로 관조함으로써 결국 과거와..

사유(思惟) 2023.02.18

헤겔과 인간 중심적 유기체론

헤겔과 인간 중심적 유기체론 박 병 기 【주제분류】자연철학, 독일관념론 【주 요 어】인간중심주의, 유기체론, 자연, 자연철학, 생태친화적 【요 약 문】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자연철학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유기체론적이고 목적론적인 자연관이 오늘날 생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자연관으로 여전히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헤겔은 자연을 자아 밖에 있는 유한한 것의 원자론적인 집합으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 주관성의 반성 철학과 인간과 자연의 분열을 무차별적인 동일성으로 해소하고자 한 낭만주의 자연철학을 종합 지양함으로써 기계론을 계기로 포함하고 있는 유기체론적 자연 이해에 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타재라는 형식에서의 이념, 소외된 정신으로 보고 인간적 자유의 확대를 위해 절..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자기 의식의 변증법

헤겔의 자기 의식의 변증법 - 백 종 현 1.칸트의 초월적 자기 의식, 헤겔의 사회적 자기 의식 사물 인식, 곧 대상 의식의 확실성의 방식에서 진상은 의식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것이다. 그리고 이 “진상”은 헤겔(G. W. F. Hegel:1770~1831)의 대상 의식의 변증법에서는 의식의 경험, 곧 “의식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자면 자기의 지식 작용과 자기의 대상에 대해 행사함으로써 그로부터 참된 대상이 생겨나는 변증법적 운동”(GW9-60)에서 나타났다 사라진다. 그러므로 헤겔이 파악한 대상 의식에서의 대상, 곧 독일어 낱말 뜻 그대로 ‘의식(Bewußt-sein)’에서 ‘알려지는 것’, 그러니까 감각의 확실성에서 ‘이것’이라는 존재자, 지각에서의 구체적인 ‘사물’, 지성에서의 ‘힘’은 직접적..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칸트 인식론 비판

헤겔의 칸트 인식론 비판 ―‘오성’ 개념을 중심으로― 문성화(경상대) [한글요약] 이 논문은, 헤겔의 ������정신현상학������이 고찰하고 있는 철학사적 의미 가운데, ‘오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 칸트의 인식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가 동시에 그리고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은 헤겔이 자신의 ������철학사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칸트」 장이다. 우리는 헤겔의 ������철학사 강의������를 통해서, 헤겔이 자신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철학의 역사를 얼마나 철저하게 연구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주지하다시피, 헤겔은 ������정신현상학������을 자신의 철학적 체계의 ‘입문서’로 간주하였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헤겔은 무엇을 했을 것이며,..

사유(思惟) 2023.02.18

하이데거의 헤겔 논리학 해석

하이데거와 헤겔, 하이데거의 헤겔 논리학 해석 강 순전 명지대 철학 교수 I. 머리말 이 글은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그의 헤겔 논리학 해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전집 5권 『Holzwege』에 실려 있는 1942/43년의 「헤겔의 경험개념」(Hegels Begriff der Erfahrung), 전집 11권 『동일성과 차이』(Identitat und Differenz), 전집 32권으로 출간된 1930/31년의 『헤겔의 정신현상학』(Hegels Phanomenologie des Geistes), 그리고 전집 68권 『헤겔』에 실려 있는 1938/39년의 「부정성」(Negativitat) 및 1942년의 「헤겔 정신현상학 서론 해설」(Erlauterung der “Einleitung” ..

사유(思惟) 2023.02.18

해석학과 해체주의 : 가다머와 데리다의 논쟁

해석학과 해체주의 : 가다머와 데리다의 논쟁 정기철 1. 들어가는 말 해석학사에서 가다머와 관련된 논쟁사를 정리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논쟁사를 정리하다보면 해석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쉽게 알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가다머와 관련된 주요 논쟁은 서너 번 있었다. 제일 먼저, 해석학의 객관적 요청을 주장한 베티와 “해석학은 더 이상 방법론이 아니다”라고 주장한 가다머 사이에 60년대 초반에 있었다. 그 다음 “전승된 전통에 대한 비판과 수용” 문제로 하버마스와 가다머 사이에 이데올로기 비판과 해석학 논쟁1)이 60년대 말에 있었다. 그리고 80년대에 들어서도 “이해의 통일과 이해의 다름”에 대한 논쟁이 데리다와 가다머 사이에 있었다. 이미 여러 해석학자들에 의해 고..

사유(思惟)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