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플라톤 철학으로 본 몸

플라톤 철학으로 본 몸 철학아카데미(http://www.acaphilo.co.kr/)의 강의록 플라톤 철학으로 본 몸 미셀 푸코가 "혼은 몸의 감옥이다."라고 했을 때, 그 대척점에 있는 인물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철학자는 플라톤입니다. 흔히 플라톤이 "몸은 혼의 감옥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우리에게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플라톤이 과연 이 말을 어떤 대목에서 한 것일까 하는 것입니다. 나아가 무슨 까닭으로 이 말을 했을까, 그리고 도대체 이 말을 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형이상학적인 배경이 무엇일까 하는 것입니다. 플라톤이 서양 철학사를 방향짓는 거대하고 막강한 사유의 틀로서 특히 근대의 철학을 '저 멀리서' 기초짓는 것이라는 점을 인정할 때,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

사유(思惟) 2023.11.26

플라톤의 티마이오스(Timée, Τίμαιος)?와 ?크리티아스(Critias, Κριτίας)

?티마이오스(Timée, Τίμαιος)?(Sur la nature, Τimaios ē Peri phusis)와 ?크리티아스(Critias, Κριτίας)?(Sur l’Atlantide, Kritiás ē Peri Atlantikós) 브리송(Brisson), in Les Oeuvres I, Dictionnaire, PUF, 1992, pp. 269-270.(P.2190.) -브리송(Luc Brisson, 1946-), 퀘벡 철학자.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의 존재론적 구조에서 동일자와 타자: 플라톤 티마이오스편의 체계적 주석(Le même et l'autre dans la structure ontologique du Timée de Platon. Un commentaire systématique d..

사유(思惟) 2023.11.26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안재오 1.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라이프니츠의 철학은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한 반성(反省)에서 생겨났습니다. 데카르트는 정신의 절대적 확실성(=Thinking-I)과 심신(心身)의 분리성을 증명했습니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사고 실체와 연장 실체라는 두 가지 실체로 이루어지는 이원론을 표방했습니다. 데카르트는 라이프니츠의 철학적 발전의 기본적 통찰력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즉 물체(body)는 분할될수 있지만 마음은 분할될 수 없다. 마음은 하나의 통일이다. 라는 사상입니다. 정신과 육체는 큰 차이가 있다. 모든 물체(body)는 본래 분할될 수 있지만, 마음은 분할될 수 없다. 내가 내 정신을 생각할 때, 즉 나 자신을 순수하게 생각하는 존재..

사유(思惟) 2023.08.26

라이프니츠의 시간관념: 플로티노스 영향

[라이프니츠의 시간관념: 플로티노스 영향] 시간관념의 역사(Histoire de l’idée de temps) - 벩송의 꼴레쥬 드 프랑스 강의(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02-1903) - 리끼에(Camille Riquier, 1974-) 편집, PUF, 2016, pp. 303-321(P. 395). 샤를 빼기(Charles Péguy, 1873-1914)[마흔하나]는 벩송에 관한 단행본을 냈는데, 그 속에서 벩송이야말로 라이프니츠 이래로 최고의 형이상학자라 한다. 나로서는 이 글을 읽었을 때는 실감나지 않았다. 그가 벩송의 사상으로 카톨릭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당시의 파리주교를 만나 설득시켰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런 이야기보다 빼기의 삶이 흥미로웠기 때문에 파리..

사유(思惟) 2023.08.26

라이프니츠 의지의 자유문제와 단자론

라이프니츠 자유론: 의지의 자유문제와 단자론 윤선구│서울대 . 라이프니츠 자유론 인간이 도덕을 실현하려 간절히 소망할 경우, 신은 인간의 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자연의 운행법칙까지도 변경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주의 완전성이 점진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시작하는 글 라이프니츠 철학은 흔히 단자론이라고 불린다. 단자란, 플라톤이 가시계와는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면서 가시계의 원형이 된다고 본 것을 이데아라고 불렀듯이, 라이프니츠가 그 자신이 실체라고 본 것에 붙인 이름이다. 데카르트 이래 근세 합리론자들은, 그들이 무엇을 실체라고 보는가 하는 점에서는 철학자들의 입장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지만, 실체를 통하여 정신 및 현상 세계를 설명하려는 공통된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실체는 그들에게 있..

사유(思惟) 2023.08.26

질 들뢰즈: 스피노자에 관한 세미나

질 들뢰즈: 스피노자에 관한 세미나 1978년 1월 24일 * 이 글에서는 connaissance를 ‘앎’이라고 번역했다. 물론 역자의 게으름으로 군데군데 이를 지식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이 점 양해 바란다. 흔히 이는 ‘인식’이라고 번역된다. 그러나 이는 프랑스어의 미묘함을 살리지 못한 것이다. 또 ‘affect된다’는 것은 ‘영향을 받는다’ 혹은 ‘촉발된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굳이 영향이나 촉발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은 단어의 일관성을 살리기 위해서다. -- 역자: 김상운(sanggels@hanimail.com) 오늘 우리는 연속적인 변주(variation continue)에 관한 우리의 작업을 잠시 멈춥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세미나 회기 동안에, 철학의 역사로 일시적으로나마 ..

사유(思惟) 2023.08.26

스피노자와 세 가지『윤리학』

스피노자와 세 가지『윤리학』 질 들뢰즈 첫 번째 독해에서 ꡔ윤리학ꡕ는, 정의, 공리 공준, 정리, 증명, 系, 주석을 반복해서 통과하면서 그 거대한 과정에 모든 것을 연쇄시키는, 비길 데 없이 강하고 고요하게 거의 직선으로 뻗어 나가는 길고 연속적인 운동으로 보일 수 있다. 그것은 때로는 넓게 퍼져 나가고s'étaler 때로는 천 개의 지류들로 분지하는[분할되는] 강물과도 같다. 그것은 또 때로는 빨라지고 때로는 느려지는, 그러나 언제나 그 근원적인radicale 통일성을 긍정하는 강물과 같다. 그리고 스콜라적으로 보이는 스피노자의 라틴어는 영원한 강을 따라 가는 不老의(sans áge) 배를 구성하는 것처럼 보인다1). 그러나 정서emotions가 독자들을 덮치는[사로잡는] 순간, 혹은 두 번째 독해 ..

사유(思惟) 2023.08.26

스피노자의 무한에 관한 편지

스피노자의 무한에 관한 편지 (Louis Meyer에게 보낸 7번째 편지) Ⅰ. 무한한 것의 문제와 실체의 불가분성(indivisibility)의 문제는 “에티카”의 1부에서 다루어진다. 정리 12는 무한을 증명한다. 정리 13과 그것의 보충과 주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리 15는 불가분성(不可分性)을 증명한다. 무한과 불가분성은 실체의 기본적인 성질 즉 자기 원인(causa sui)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따라나오는 실체의 두 가지의 독특한(unique) 성질들이다. 사실상 스스로 필연적으로 현존하는 것은 무엇이든 모순 없이는 그것의 현존의 어떤 부분도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그것은 필연적으로 무한하며 어떤 분리(partitioning)도 배제한다. 무한과 불가분성은 같은 성질의 두 가지 측면이기 때문에 무..

사유(思惟) 2023.08.26

스피노자와 “마주침의 유물론-3종의 인식을 향하여

스피노자와 “마주침의 유물론-3종의 인식을 향하여 최원(뉴스쿨대/ 철학 ) 루이 알튀세르는 자신의 아내 엘렌을 살해한 비극적인 사건 이후 그에게 강요된 침묵의 심연으로부터 빠져 나와 ‘공적으로 말을 되찾기 위해’ 투쟁하면서, 오랫동안 간직해 왔던 자신의 생각에 관해 맹렬한 집필을 시작했다. 「마주침의 유물론이라는 은밀한 흐름」*주1)(1982)은 그 같은 투쟁의 결과 가운데 하나였다. 그것은 유물론과 관념론이라는 철학적 대립이 작동하는 지반 그 자체를 뒤흔들려는 시도였다. 우연성이란 부차적인 요소로서 필연성이 자신을 실현하고 스스로에게 복귀하기 위한 매개에 불과하다는 관념을 거부하고 우연성을 필연성의 바로 그 토대에 위치시킴으로써 알튀세르는 유물론과 관념론 양자 모두에 의해 공유되고 있는 기원(archē..

사유(思惟) 2023.08.26

Spinoza의 형이상학 실체의 속성에 대한 연구

Spinoza의 형이상학 실체의 속성에 대한 연구 김익현 건국대 Spinoza's Metaphysics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Substance) Kim, Ik Hyun 2-289-0001-09 pp.179-193 I . 들어가는 말 Ⅱ.속성에 대한 정의를 둘러싼 해석의 문제 Ⅲ , 속성과 성질 Ⅳ. 속성의 종류와 특성 V.속성의 동적 특성 Ⅵ. 속성과 관련된 난점 Ⅶ. 나오는 말 This study gives a account of the Attributes of Substance which is one of the fundamental concepts in Spinoza's metaphysics. My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wh..

사유(思惟) 2023.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