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데카르트의 감각론

데카르트의 감각론 정 대 훈 서울대 철학 머리말 필자는 논문을 쓰는 동안 데카르트의 철학 안에서 논쟁점이 되는 세 가지 주제를 발견했다. 첫째 주제는 영혼과 신체의 관계의 문제이다. 영혼과 신체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 양자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가, 아니면 서로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가? 양자는 인과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는가, 아니면 양자간의 직접적인 작용은 불가능한가? 둘째 주제는 데카르트의 '감각 내용(sentiment)' 개념과 관련한 그의 '의식(conscience, conscientia)' 혹은 '사유(pensee, cogitatio)' 개념이다. 감각 내용은 정신적인 현상인가, 아니면 물질적인 현상인가? 그것은 정신 혹은 의식 없이도 가능한가, 아니면 항상 의식과 관련되어야만 가능한가..

사유(思惟) 2023.08.26

데카르트의 자아관Descartes's Theory of The Self

데카르트의 자아관 Descartes's Theory of The Self 한자경 (HAN, Ja-Kyoung) 계명대학교 철학과 I. 들어가는 말 이데아계라든가 신이라든가 또는 세계라든가 그런 아직 근거지워지지 않은 것을 가정하거나 전제함이 없이 철학하고자 한다면, 우리의 철학적 사유는 어디 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하는가? 확실한 것으로서 증명되지 않은 어떠한 것도 선행 적으로 전제하지 않는 무전제의 철학을 행하고자 한다면, 그러면서도 철학이 수 학과 달리 일정한 공리와 정의로부터 연역적으로 도출해내는 개념의 엮음이 아 닌 철학적 사태의 직관이어야 한다면, 그러한 철학적 사태는 어디에서 찾아져야 하는가? 이것이 바로 당시까지 지배적이던 일정한 신학적 전제들로부터 벗어나 인간 이성에 근거하여 사유하고자 했던 ..

사유(思惟) 2023.08.26

데카르트의 심리철학에 관한 연구

데카르트의 심리철학에 관한 연구 박 상 욱 Ⅰ 서론 심리철학은 정신과 육체의 관계를 다루는 문제이다. 정신과 육체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 양자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가, 아니면 서로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가? 양자는 인과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는가, 아니면 양자간의 직접적인 작용은 불가능한가? 이러한 질문들은 우리에게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정신과 육체라는 문제에서 어떠한 것을 자신의 신념으로 정하는가에 의해서 당신은 유물론자가 될 수도 있고 이원론자가 될 수도 있다. 유물론이든 이원론이든 자신들의 생각이 논증으로서 타당성을 가질려면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야 할 것이다. 유물론1)자들이 신경생리학, 뇌과학, 인지과학등에서 철학적 근거를 찾아가는 것에 비해 아직까지 이원론자들의 근거는 많은 ..

사유(思惟) 2023.08.26

데카르트적 신체 개념: 그 존재론적, 인식론적 지위

데카르트적 신체 개념: 그 존재론적, 인식론적 지위 이 현 복(한양대 철학) 1. 들어가는 말 모더니티, 그것은 하나의 혁명적인 사건이었다. 이른바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 목적론적 자연관에서 기계론적 자연관으로의 전회를 감행한 사건이었다. 이제 더 이상 인간에게는 신의 가호 아래 신의 형상을 그리면서 행복을 꿈꿀 수 없는 시대적인 조건이 마련되었다. 사회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자연과학적으로 인간은 세계의 중심에서, 자연의 중심에서 독자적으로 주변을 돌아볼 수 있게 되었다. 독자적으로, 이 말은 인간의 자부심을 의미하기도 하기만, 그것은 동시에 고독의 심연 속으로 인간을 몰고가는 말이기도 하다. 이제 인간은 신에 전적으로 의지하여 궁국적인 피안의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유(思惟) 2023.08.26

데카르트 철학의 문제와 그 한계

데카르트 철학의 문제와 그 한계 (The Philosophy of Descartes-Its Problems and Limitation) 박상규 (Park, Sang-Kyu") 弘益大學校 문과대학 교수 ( HONG-IK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es. Professor ) 2-695-9401-02 pp.29-49 이 논문은 1994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하여 연구 되었음. 영문요약 〈Abstract〉 〈contents〉 1. Cartsian Doubt 2. Cartsian Certainty 3. Problems derived 4. A puzzling matter of Morality 5. Historical Limitation 6. Affirmative appra..

사유(思惟) 2023.08.26

Descartes 운동이론 연구 - Leibniz의 비판을 중심으로

Descartes 운동이론 연구 - Leibniz의 비판을 중심으로 박 지 수 서울대 철학 I. 들어가는 말 天文學的 발견으로 시작된 17세기 과학혁명은 "우리가 그 책이 쓰여진 글자와 언어를 배우지 않는다면 우주라는 웅장한 책을 이해할 수 없다. 그것은 數學이라는 언어로 쓰여졌다"는 Galileo의 말로 대변된다. 과학혁명으로 시작된 근대과학의 주요작업은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것 이외에도 원리에 의해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었다. 17세기 近代哲學의 기계론적인 思潮는 인간의 이해에 의해 자연 속에 있다고 여겨지는 신비함을 없애고, 자연을 '이성 앞에 완전히 투명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기본태도 중의 하나로 삼았다. 본 논문은 근대철학과 근대과학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그러나 새삼스러울 것 없는 가정을..

사유(思惟) 2023.08.26

헤겔의 아름다운 영혼 개념에 관한 연구

헤겔의 아름다운 영혼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ncept Of Beutiful Soul By Hegel Byung Chang Lee 철학전공 교수 이 병창 Professor. Ph. D, Byungchang Lee Department of Humanities, Dong-A University. 초록 헤겔은 예나 시대에 쉘링으로부터 낭만주의 철학에 접하게 되면서, 한편으로 그것에 매료되기도 했지만 다른 편에서 그는 횔더린 등으로부터 고전주의 이념을 받아들여 결국 낭만주의를 비판하게 되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낭만주의에 대한 헤겔의 비판을 다루고자 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우선 낭만주의의 인식 및 미학의 원리에 대한 헤겔의 비판부터 살펴보고, 이어서 낭만적 양심 개념에 대한 헤겔의 ..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인륜이론 정초에 대한 연구

헤겔의 인륜이론 정초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임 재 진 목 차 1장. 머리말 1 1-1. 주제의 해명 1 1-2. 논의의 범위 3 1-3. 주제의 탐구 역사 5 2장. 인륜이론의 기초 8 2-1. 인륜이론의 이념 8 2-2. 의지의 자유 14 2-3. 법의 개념 19 2-4. 인륜의 개념 21 3장. 인륜이론으로서의 자연법 24 3-1. 주체성과 종교 비판 24 3-2. 전통적 인륜이론으로서의 자연법 이론 34 3-3. 자연법에 대한 헤겔의 인륜이론적 재구성 59 4장. 예나 시대 인륜이론 67 4-1. {인륜의 체계}의 인륜이론 69 4-2. {예나정신철학}의 인륜이론 82 5장. 인륜이론의 체계적 완성 105 5-1. 가족의 인륜적 의의 106 5-2. 시민사회-인륜의 새로..

사유(思惟) 2023.02.18

헤겔의 方法論에 대한 몇 가지 非分析的․言語哲學的 解釋과그 문제점

헤겔의 方法論에 대한 몇 가지 非分析的․言語哲學的 解釋과 그 문제점 김 준수 I. 문제 제기 헤겔의 철학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 내용이 우리가 현대사회에서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실질적 문제점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동안 이루어진 수많은 분석과 해설서 등을 통해 우리는 헤겔의 철학이 어떠한 역사적 및 정신사적 배경 속에서 탄생하였으며 헤겔이 존재론적으로, 인식론적으로 혹은 정치적으로 지지한 입장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상당히 정확한 지식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헤겔 철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커다란 결함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특히 헤겔에 있어서 “철학적 사유”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또는 흔히 “변증법”, “사변적 방법” 등으로 일컬어지곤 하는 헤..

사유(思惟) 2023.02.18

쉘링의 자유론에서 악과 책임의 문제 - 변신론에 기초한 윤리적 고찰

쉘링의 자유론에서 악과 책임의 문제 - 변신론에 기초한 윤리적 고찰 강 순전(서울대 ) 목차 서론 I. 자유와 체계 II. 자연의 창조를 위한 형이상학적 근본구상 III. 인간과 악의 창조 IV. 자유로운 행위와 책임의 문제 V. 악의 실재성과 변신론 맺는 말 서론 쉘링의 『인간의 자유의 본질에 관하여』는 독일 관념론의 관점으로부터의 자유 개념에 대한 해석의 백미(白眉)로 간주되는 작품이다. 하이데거는 이 작품을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함께 독일 관념론의 두 정점으로 보고, 이 100쪽도 못 되는 작은 논문을 총 세 번이나 강의하였다. 쉘링은 이 저작에서 자유 및 선과 악 같은 인간 윤리의 근본 개념들을 신에 의한 인간의 창조의 원리에 기초하여 고찰한다. 창조와 계시의 원리에 의해 인간 윤리의 문제가 고..

사유(思惟) 202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