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형이상학의 두 태도와 후설의 현상학

형이상학의 두 태도와 후설의 현상학 강 동 수(경북대 철학 교수) Die Zwei Einstellungen der Metaphysik und Husserls Phänomenologie Dong-Soo Kang 1. 서 론: 형이상학의 두가지 태도에 대한 예비적 고찰 형이상학은 우리가 대면한 자연, 즉 세계를 “하나의 통일적인 원리에 의해서 설명하려는” 학문이다. 형이상학의 대상으로서의 자연은 “자연이 인간밖에 인간과 무관하게 존재하고 있고, 이 자연 속에서 자연에 외적인 인간이 자연의 산물을 이용하여 자신의 삶을 펼쳐나간다”는 자연주의적-객관주의적 의미와 “인간에 의해서 근원적으로 구성된 자연, 즉 인간과 필연적인 상관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자연”이라는 주관주의적 의미로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이상..

사유(思惟) 2022.12.18

Spinoza의 형이상학 실체의 속성에 대한 연구

Spinoza의 형이상학 실체의 속성에 대한 연구 김익현 Spinoza's Metaphysics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Substance) Kim, Ik Hyun 2-289-0001-09 pp.179-193 I . 들어가는 말 Ⅱ.속성에 대한 정의를 둘러싼 해석의 문제 Ⅲ , 속성과 성질 Ⅳ. 속성의 종류와 특성 V.속성의 동적 특성 Ⅵ. 속성과 관련된 난점 Ⅶ. 나오는 말 This study gives a account of the Attributes of Substance which is one of the fundamental concepts in Spinoza's metaphysics. My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

사유(思惟) 2022.11.24

질 들뢰즈: 스피노자에 관한 세미나

질 들뢰즈: 스피노자에 관한 세미나 1978년 1월 24일 * 이 글에서는 connaissance를 ‘앎’이라고 번역했다. 물론 역자의 게으름으로 군데군데 이를 지식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이 점 양해 바란다. 흔히 이는 ‘인식’이라고 번역된다. 그러나 이는 프랑스어의 미묘함을 살리지 못한 것이다. 또 ‘affect된다’는 것은 ‘영향을 받는다’ 혹은 ‘촉발된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굳이 영향이나 촉발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은 단어의 일관성을 살리기 위해서다. -- 역자: 김상운(sanggels@hanimail.com) 오늘 우리는 연속적인 변주(variation continue)에 관한 우리의 작업을 잠시 멈춥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세미나 회기 동안에, 철학의 역사로 일시적으로나마 ..

사유(思惟) 2022.11.24

라이프니츠 자유론

라이프니츠 자유론 윤선구│서울대 인간이 도덕을 실현하려 간절히 소망할 경우, 신은 인간의 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자연의 운행법칙까지도 변경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주의 완전성이 점진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시작하는 글 라이프니츠 철학은 흔히 단자론이라고 불린다. 단자란, 플라톤이 가시계와는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면서 가시계의 원형이 된다고 본 것을 이데아라고 불렀듯이, 라이프니츠가 그 자신이 실체라고 본 것에 붙인 이름이다. 데카르트 이래 근세 합리론자들은, 그들이 무엇을 실체라고 보는가 하는 점에서는 철학자들의 입장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지만, 실체를 통하여 정신 및 현상 세계를 설명하려는 공통된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실체는 그들에게 있어 현상 세계와 정신의 작용 내지는 인식과 도덕의..

사유(思惟) 2022.11.24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안재오 1. 라이프니츠의 단자론 : 관념론적 원자론 라이프니츠의 철학은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한 반성(反省)에서 생겨났습니다. 데카르트는 정신의 절대적 확실성(=Thinking-I)과 심신(心身)의 분리성을 증명했습니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사고 실체와 연장 실체라는 두 가지 실체로 이루어지는 이원론을 표방했습니다. 데카르트는 라이프니츠의 철학적 발전의 기본적 통찰력에 대한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즉 물체(body)는 분할될수 있지만 마음은 분할될 수 없다. 마음은 하나의 통일이다. 라는 사상입니다. 정신과 육체는 큰 차이가 있다. 모든 물체(body)는 본래 분할될 수 있지만, 마음은 분할될 수 없다. 내가 내 정신을 생각할 때, 즉 나 자신을 순수하게 생각하는 존재..

사유(思惟) 2022.11.24

니힐리즘(Nihilism)의 본질과 존재물음

니힐리즘(Nihilism)의 본질과 존재물음 이 동 현 서울대 철학 본 논문은 니힐리즘이 단순한 역사적인 현상이 아니라 서양사유의 근본성격임을 주장한 하이데거의 입장에 서서 니힐리즘의 본질에 대해 다룬다. 니힐리즘의 시대를 최초로 예언했으며 누구보다도 니힐리즘의 극복을 위해 철저하게 사유했던 철학자가 니체였다. 따라서 우리는 니체의 니힐리즘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실마리로 해서 니힐리즘의 본질에 대해서 다룬다. 여기에서 과연 니체는 니힐리즘의 본질에 대해 바르게 파악하고 있었는가? 그리고 니힐리즘을 극복하려는 그의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에서 드러나게 되는 것은 니체는 니힐리즘의 본질을 오해했으며, 더 정확히 말해서 필연적으로 오해할 수 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그의 시도는 실패로 끝..

사유(思惟) 2022.11.24

스피노자의 존재론을 위한 서론

스피노자의 존재론을 위한 서론 이 근 세(경희대) 요 약 문 스피노자가 제시한 존재론은 비인격신, 혹은 자연신을 그 원리로 하며 지성과 의지의 신을 원리로 삼는 전통 형이상학을 전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피노자의 존재론은 ?에티카?에 개진되어 있다. 그러나 ?에티카?는 아무런 전제도 없고 서론도 없이 곧바로 존재론적 원리로부터 시작한다. 본 논문은 ?에티카?의 서론이라 할 수 있는 ?지성개선론?의 분석을 통하여 스피노자가 신에 대한 고찰로부터 자신의 존재론을 시작해야 했던 이유를 밝히려 한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철학적 반성은 삶의 문제로부터 나온다. 경험의 상대성에 대한 의식이 철학적 반성의 시작이며, 경험은 이성적 탐구를 통해 재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성적 탐구는 참된 관념으로부터 출발해야 ..

사유(思惟) 2022.11.24

화이트헤드와 논리적 원자론자들의 존재론

화이트헤드와 논리적 원자론자들의 존재론 정 연 홍(충남대) [한글 요약]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의 영국철학의 배경을 통하여 ‘과정철학'을 정초한 화이트헤드의 존재문제, 상식적 실재론을 주창한 무어의 존재 문제와 원자론자들 가운데 러셀의 존재문제를 구명하고자 한다. 영국의 대표적인 관념론자인 브래들리의 사물관을 화이트헤드는 그의 유기체의 철학에서 받아들이지만 무어와 러셀은 그것을 비판한다. 그러나 그들은 한편으로는 경험론에 내포된 심리학적 요소를 불식하기 위해 논리학의 영역을 도입해야 한다는 브래들리의 주장을 수용하여 그들의 분석의 토대로 삼는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궁극 문제는 모든 존재 근거인 현실적 존재자의 본질을 해명하는 것이다. 그의 현실적 존재자의 본질은 과정이고 생성 작용이다. 이 작용은 확..

사유(思惟) 2022.11.24

현존재의 존재세계, 공간성을 중심으로

현존재의 존재세계, 공간성을 중심으로 성 홍 기* [한글 요약] 공간성을 문제로 삼는 궁극적인 의도는 물론 공간 그 자체의 파악에 있다. 이를 공간성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존재자를 통하여 우리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지는 것은 공간이 아니라 공간성이기 때문이다. 공간성을 통하여 공간 그 자체에로 점차 나아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 또한 어려움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공간성이란 다름아닌 존재자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 성질이기 때문에 부득불 존재자를 일차적으로 다루어 나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를 어떻게 다루어 나갈 것인가. 존재자일반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혹은 특정한 존재자를 선택하여 이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이 또한 문제로 되는 것이다. 우선 존재자일..

사유(思惟) 2022.11.24

존재론적 개념분류의 인식론적 문제*

존재론적 개념분류의 인식론적 문제* 이 유 선(고려대) [한글 요약] 이 논문은 세계내 사물의 존재질서를 반영하는 인간 언어의 개념망이 과연 어떤 인식론적인 근거위에서 성립될 수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최근 언어학 및 전산언어학적인 연구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분야가 바로 개념망에 근거한 어휘 데어터베이스의 구축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개별 언어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일목요연하게 비교 검토해 볼 수 있는 틀을 만든다는 언어학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과연 인간의 언어가 보편적인 세계인식의 구조를 반영하고 있는가하는 철학적인 문제거리도 동시에 제시해 준다고 생각된다. 논자는 이 글에서 여러가지 존재론적인 개념분류가 과연 어떠한 인식론적인 근거 위에서 성립되었는가를 고찰했다. 논자가 드러내 보이고자 한 ..

사유(思惟) 202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