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피캇(Magnificat) 248

상처의 인문학 혹은 상처의 푼크툼(punctum)

상처의 인문학 혹은 상처의 푼크툼(punctum) - La humanité de la plaie ou la cuillère de la plaie (punctum) [연 중 제 27주 일 (나 해) 2021. 10. 3. 마르코 10, 2-16] 1.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 & 「생의 절반」 2. 상처의 인문학 혹은 상처의 푼크툼(punctum) 3. 하느님께서 맺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마르코 10,2-16) 1.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장 루슬로) &「생의 절반」(이병률) 장 루슬로의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를 읽어본다. 다친 달팽이를 보게 되거든 도우려 들지 말아라 그 스스로 궁지에서 벗어날 것이다 당신의 도움은 그를 화나게 만들거나 상심하게 만들 것이다//하늘의 여..

자유의지; 전적인 자기 점유와 자기 자신을 사유하는 사유

자유의지; 전적인 자기 점유와 자기 자신을 사유하는 사유 -Freiwilligkeit; eine völlige Selbstbesetzung und eine Privatsphäre, die sich selbst schützt [연 중 제 26주 일 (나 해) 2021. 9. 19. 마르코 7,38-48] 1. 너라는 벼락을 맞았다(고영) & 침묵(김명인) 2. 내 존재의 의미는 생이 나에게 전달했던 질문에 있다(칼 구스타브 융) 3. 네 손이, 네 발이, 네 눈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마르코 9,38-48) 1. 너라는 벼락을 맞았다(고영) & 침묵(김명인)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를 이미 반영하고 있으며, 그것은 단지 살고있는 세계만을 반영하는 것에 그..

이 시대의 사랑, 이 시대의 순교, 시선의 윤리학

이 시대의 사랑, 이 시대의 순교, 시선의 윤리학 - L'amour de cette époque, le martyre de cette époque, l'éthique de la vue [연 중 제 25주 일 (나 해) 2021. 9. 19. 루카 9,23-26] 1. 돌이킬 수 없는 것만이 사랑이다(이광호, 『사랑의 미래』) 2. 행복은 가언적(假言的)인가? 정언적(定言的) 인가? 3. 누구든지 나와 내 말을 부끄럽게 여기면(루카 9,23-26) 1. 돌이킬 수 없는 것만이 사랑이다(이광호, 『사랑의 미래』) 가을은 독서의 계절인가? 백과사전적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이나 도서관환상이 있는 사람들이나, 글을 쓰는 사람, 또 글을 읽는 사람은 세상을 하나의 텍스트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기에 무엇을 읽고, 본..

사랑이 십자가는 아니지만, 십자가는 사랑이다(1)

사랑이 십자가는 아니지만, 십자가는 사랑이다(1) -L'amour n'est pas une croix, mais la croix est l'amour [연 중 제 24주 일 (나 해) 2021. 9. 12. 마르코 7,27-35 ] 1. 문정희 「목숨의 노래」에 나타난 ‘타나토스’의 충동 2. 사랑은 죽음과 같이 강하다(아가서 8.6) 3.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마르코 8,27-35) 1. 문정희 「목숨의 노래」에 나타난 타나토스의 충동 문정희의 「목숨의 노래」를 읽어본다, 너 처음 만났을 때 사랑한다 이 말은 너무 작았다 같이 살자 이 말은 너무 흔했다 그래서 너를 두곤 목숨을 내걸었다 목숨의 처음과 끝 천국에서 지옥까지 가고 싶었다 맨발로 너와 함께 타오르고 싶었다 죽고 싶었다 ..

에파타(ephatha)! 예수님 자신의 직접적인 육성(ipsissimavox Jesu)을 어떻게 들을 수 있나?

에파타(Εφφαθα)! 예수님 자신의 직접적인 육성(ipsissimavox Jesu)을 어떻게 들을 수 있나? [연 중 제 23주 일 (나 해) 2021. 9. 5. 마르코 7,31-37 ] 1. 「돌을 만지는 심정으로 당신을 만지고」(이제니) 2. 좋은 책은 스스로 진화한다 (『푸른 독서 노트』,미셸 투르니에) 3. 에파타(Εφφαθα)에서 탈리타 쿰(Ταλιθα κουμ) 까지 1. 「돌을 만지는 심정으로 당신을 만지고」(이제니) 이제니의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에 실린 「돌을 만지는 심정으로 당신을 만지고」를 읽어본다. 돌을 만지는 심정으로 당신을 만진다. 가지 하나조차도 제 그림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낮이다.① 두 팔 벌려 서 있는 나뭇가지를 보았습니다. 당신은 곳곳에 서 있었습니다. 사라지는 ..

나비효과(butterfly effect),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태풍을 일으킬 수 있다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태풍을 일으킬 수 있다 (에드워드 N. 로렌츠) [연 중 제 22주 일 (나 해) 2021. 8. 29. 마르코 7,1-8.14-15.21-23] 1.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 2. 아타락시아(ataraxia)와 아파테이아(apatheia) 3.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킨다. 1.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를 읽어본다. 1.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2.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

우연과 운명의 갈림길, 그 환상과 실재

독일 뮌휀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 전경 우연과 운명의 갈림길, 그 환상과 실재 -The Crossroads of Coincidence and Fate, the Fantasy and Reality [연 중 제 21주 일 (나 해) 2021. 8. 22. 요한 6,60ㄴ-69] 1. 강보에 아기를 받듯 온몸으로 나를 받겠습니다(김선우, 「낙화, 첫사랑」) 2. 그대의 집과 혼인하라, 아니 혼인하지 말라(르네 샤르, 「히프노스의 단장들」) 3. “너희도 떠나고 싶으냐?”(요한6,60ㄴ-69) 1. 강보에 아기를 받듯, 온몸으로 나를 받겠습니다(김선우, 「낙화, 첫사랑」) 아침저녁으로 완연한 가을이다. 가을은 우리가 했던 모든 이별들, 모든 사랑들, 그 모든 만남들을 소환해 제 자리를 찾아주기 참 좋은 계절이다...

마니피캇Magnificat, 삶의 '본론'은 어떤 펜으로 쓰는가?

루르드 마니피캇Magnificat, 삶의 '본론'은 어떤 펜으로 쓰는가? - Magnificat, what pen does the 'principle' of life write with? [성모승천대축일(나해)2021.8.15. 루카, 1, 39-56] 1.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서정주, 「꽃밭의 독백-사소단장」) 2. 대지의 사랑, 무엇보다도 땅으로 내려가라 geh's zu Grunde !(니체) 3. '서둘러' 나자렛에서 유다 산악지역 헤브론까지, 다시 나자렛으로(루카, 1,39-56) 1.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꽃아(서정주, 「꽃밭의 독백-사소단장」) 서정주의 「꽃밭의 독백 –사소단장」을 읽어본다. ①노래가 낫기는 그 중 나아도 구름까지 갔다간 되돌아오고, 네 발굽을 쳐 달려간 말..

위험한 독서, 나타나엘이여, 나의 책을 집어던져라!

위험한 독서, 나타나엘이여, 나의 책을 집어던져라! - Dangerous reading, Nathaniel, throw away my book! [연 중 제 19주 일 (나 해) 2021. 8. 8. 요한. 41-51] 1. 나타나엘이여, 나의 책을 집어던져라(앙드레 지드, 『지상의 양식』) 2. 인간은 무한히 인간을 넘어 선다(파스칼, 『팡세』) 3. 수직적 차원의 육화와 수평적 차원의 육화(요한 6,41-51) 1. 나타나엘이여, 나의 책을 집어던져라(앙드레 지드, 『지상의 양식』) 김경욱은 『위험한 독서』에서 “이번에는 당신이 읽을 차례야. 나를 읽어봐. 당신의 독서를 위해서라면 나는 스스로 책이 되는 위험을 무릅쓸 수도 있으니까. 당신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더 위험해지는 것뿐이니까. 그러..

도서관 환상, 도저(到底)한 시대의 아침을 기다리며

프란치스코수도회에서 복원한 카파르나움 전경 도서관 환상, 도저(到底)한 시대의 아침을 기다리며 - Library fantasies, waiting for the morning of a veergaand period [연 중 제 18주 일 (나 해) 2021. 8. 1. 요한. 24-35] 1. 불과 함께 타오르다 불과 함께 몰락하는 장엄한 일생을(남진우) 2. 나는 나에게 타자이다(자크 라캉) 3. 티베리아스에서 카파르나움으로(요한 6,24-35/루카 복음 10,13-16/마태오 11,23 ) 1. 불과 함께 타오르다 불과 함께 몰락하는 장엄한 일생을(남진우) 사전적으로 환상(幻想)은 현실성이나 가능성이 없는 헛된 생각이나 공상(空想), 망상(妄想)을 일컫는다, 환상(幻想)은 사상이나 감각의 착오로 말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