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해명된 주체 개념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해명된 주체 개념 문 장 수**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주제분류】인간학, 형이상학 【주 요 어】주체성, 코기토, 주체철학, 주체해체, 주체복원 【요 약 문】 우선 논자는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주체 철학의 변형을 네 시기로 구분하고자 했다. 제 1 기는 데까르트에 의한 주체 철학 정립기이다. 제 2 기는 칸트에서 시작하여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싸르트르의 실존주의에까지 이어지는 시기로 이를 논자는 주체의 구조 분석기라고 해석했다. 제 3 기는 실존주의 이후 등장한 프랑스의 구조주의적 흐름 속에서 해석된 주체 개념, 즉 정신분석학(프로이드와 라캉), 기호학(니이체에서 소쉬르를 경유하여 일반 기호학까지) 그리고 유물론(스피노자에서 시작하여 포이에르 바하, 마르크스를 경유하여 알튀..

사유(思惟) 2022.01.29

다원주의 비판과 인간중심주의적 통치 원리

다원주의 비판과 인간중심주의적 통치 원리*1) 임 성 호**1) Ⅰ. 서 론 통치원리로서의 다원주의(pluralism)는 다양한 사회이익들의 자유로운 표출(ar-ticulation)을 중시하고 또한 그 사회이익들이 정부의 강제적 간섭보다는 그들간의 자발적 거래와 타협을 통해 공공정책(public policy)으로 집성(aggregation)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오늘날 이 다원주의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비서구 신생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회에서 대중민주주의의 이상적 통치원리로서 교과서와도 같은 지향점이 되고 있다(March and Olsen 1986: 359). 그러나 겉으로만 다원주의를 내세우는 권위주의 사회는 말할 것도 없고, 다원주의 통치원리가 비교적 잘 작동되고 있는 서구의 미국이나 유럽 사회..

사유(思惟) 2022.01.29

“인간은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

인간 본성론 “인간은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 주제 교양 1. ‘人間本性論’이 왜 중요한가 인간은 선한 존재인가 아니면 악한 존재인가? 이 질문은 지난 2천 여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을 괴롭혀온 문제이며, 또한 ‘잘 나가는’ 철학자들 거의 대다수가 달라붙어 설전을 벌인 주제다. 그렇다면 수천년에 걸친 고민과 논쟁 끝에 도달한 어떤 합의가 있는가? 결론부터 말하면 ‘인간 본성론’에 관한 한 어떤 합의도 정설(定說)도 없다. 즉,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보는 주장도 일리가 있고,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어, 어느 한 주장을 취할 수 없다는 것이 결론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 문제를 검토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간단하다. 첫째, 이에 대한 관점은 개인적인 차원은 물론 사회적인 차원에..

사유(思惟) 2022.01.29

인간은 무(無)의 자리지기

인간은 무(無)의 자리지기 李基相 (韓國 外國語 大學校/哲學) 1.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은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만큼이나 그 역사가 길고 논란도 많다. 형이상학의 역사는 그 물음에 대한 대답모색의 역사였으며 또한 그에 대한 논란의 역사이기도 했다. 형이상학의 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논의의 장은 형이상학에 대한 자기이해의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전시장을 방불케한다. 최고의 학문, 제일 철학으로서 신학과 동일시되던 시대가 있었는가 하면 모든 학문의 기초학문으로서 만학의 여왕으로서 추앙받던 시대도 있었다. 그런가 하면 회의의 시대, 비판의 시대에서는 학문으로서의 지위마저 의심받고 자연(현실)에서 추방되어 초자연, 논리, 심리, 정신, 영혼, 원칙, 삶, 역사, 문화 등에서 새로운 생존의 터..

사유(思惟) 2022.01.29

죽음에 이르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죽음

「죽음에 이르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죽음 강 손 근(동의대 철학 교수) 1. 머리말 우리는 늘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문제를 놓고 고민한다. 이것은 인간의 삶이 단순한 짐승들의 삶과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같은 동물에 속하면서도 인간 이외의 짐승들은 그저 타고난 본성대로 살 수 밖에 없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가 짐승들에게 있어서는 애초부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인간은 자신의 삶을 항상 사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에게 있어서 삶은 바로 사유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의식을 가진 존재, 즉 자기가 누구인가를 아는 존재이다. 자기 자신을 알고 자기가 아닌 것을 자기로부터 구별할 줄 아는 것이 인간이다. 더욱이 인간은 자신이 언젠..

사유(思惟) 2022.01.29

하르트만 층이론의 인간 문제

하르트만 층이론의 인간 문제:하르트만 인간론에 관한 한 명제의 검토 양 우 석 요 약 문 하르트만의 비판적 존재론은 우리 나라에서 그리 널리 연구되지 못했다. 하르트만의 존재론에 대해서는 오히려 올바른 이해보다는 오해와 왜곡이 많이 되어 있는 편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 의식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모델이 되는 논문에 제출된 명제는 하르트만의 존재론에 대해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문제에 관한 하르튼만의 존재론적 입장을 드러내고 있는 탁월한 논문으로 보인다. 하르트만 존재론이 포함하고 있는 문제점을 조목조목 정리하고 있는 것이 이 논문의 기조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 문제 제기야말로 하르트만 존재론에 대한 체계적인 오해와 왜곡을 일으킬 소지가 다분한 것으로 결론짓고 이에 대한 체계적 ..

사유(思惟) 2022.01.29

인격의 동일성과 의식의 인과성

이순성 박사가 번역한 스윈번과 슈우메이커의 인격 동일성에 대한 논쟁. 출처 : 서강대 포럼 철학의 대논쟁 시리즈 인격 동일성 시드니 슈우메이커와 리챠드 스윈번 의식과 인과성 디.엠.암스트롱과 노만 맬컴 목차 인격 동일성: 이원론적 이론 리챠드 스윈번 인격 동일성: 유물론적 이론 시드니 슈우메이커 리챠드 스윈번의 논평 시드니 슈우메이커의 논평 참고문헌 색인 철학의 대 논쟁 시리즈에 관하여 소크라테스 이후로 대화는 철학적 탐구와 설명의 막강한 수단이 되어 왔다. 이 새로운 시리즈의 목표는 철학의 테마 중 오늘날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을 논쟁의 형식으로 소개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사고의 교환에 의해 생겨나는 지적 흥분을 전달하고 철학적 논변의 묘미를 맛보게 하는 것이다. 어떠한 논변도 보통 두가지 이..

사유(思惟) 2022.01.29

집합행위에 대한 엘스터의 설명 논리 비판

집합행위에 대한 엘스터의 설명 논리 비판 백 충 용 1. 들어가는 말 엘스터로 대표되는 방법론적 개인주의는 모든 태도, 행동 유형, 사회 과정 등의 활동, 속성, 관계가 원리적으로 개인의 측면에서만 설명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사회구조 등의 거시 영역 생산의 매개인 집합행위 역시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방식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집합행위에 대한 그러한 설명 방식은 그다지 설득력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집합행위가 왜 특정한 유형을 띠는가에 대해 적절한 대답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조적 관점에 기초한 행위 유형적 접근만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 글의 의도는 집합행위에 대한 엘스터의 설명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과 동시에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집합행위에 대한 설득력 있는 이론적 기반을..

사유(思惟) 2022.01.29

의식, 신체 그리고 인간에 관한 논의

의식, 신체 그리고 인간에 관한 논의 - 스트로슨의 칸트비판과 인간개념에 대한 고찰 - 김 선 하(경북대) [한글 요약] 본고는 전체적으로 칸트의 비판철학에 대한 분석철학자인 스트로슨(P. F. Strawson)의 비판적 입장과 그의 인간(Person) 개념에 주안한다. 그리고 스트로슨의 인간개념에 대한 리쾨르의 분석과 비판을 간략하게 고찰한다. 분석철학자인 스트로슨은 칸트의 초월철학이 초재적 형이상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칸트의 선험적 초월적 논증을 분석적 논증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따라서 경험을 앞서 있는 우리가 알 수 없는 물자체 영역과 우리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일련의 경험을 통일하는 초월적 자아를 배제시킨다. 대신에 인과적 자연법칙에 종속된 대상 세계에 대한 지식을 가능하게 하고..

사유(思惟) 2022.01.29

디오니소스 신화와 의식의 철학적 의미*

디오니소스 신화와 의식의 철학적 의미* 외대 철학과 교수 박 희영 들어가는 말 만약에 우리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신화와 그 신을 기리는 종교 의식(Dionisia)을 현대인의 개념 체계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이 지닌 비상식성 내지 비합리성--그 무질서와 광기, 집단 혼음과 生食(omophagia)등--때문에, 그러한 주제가 어떻게 철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을지 자체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근세 이후부터 학문적 탐구 도구로서의 계산적 이성(ratio)에 점점 더 가치를 부여해 온 서양의 전통 철학이 19 세기 말까지 왜 디오니소스 의식에 대해 철학적인 논의나 토론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었는지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20 세기 초부터 그리스 철..

사유(思惟) 202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