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하버마스의 '합리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하버마스의 '합리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개념분석적 전략과 사회이론적 전략의 상충을 중심으로 선 우 현 서울대 철학 I.머리말 인간해방과 자유왕국의 실현을 내걸고 추진된 계몽의 기획은 현재의 시점에서 그리 성공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비록 근대화의 중심부에 위치했던 서구사회가 이론적 합리성에 토대를 두고 발전해온 과학·기술의 눈부신 성과에 힘입어 그 어느 때보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향유하고 있지만, 그같은 풍요의 이면에는 수많은 근대화의 병리가 자리잡고 있다. 비인간화한 소외된 삶의 확산과 전지구적인 생태학적 위기의 증대 등이 그것이다. 이는 무지의 상태를 벗어난, 성숙된 자율적 인간의 추구라는 계몽의 이념과 배치되는 것이다. 계몽의 이념에 기초한 근대화의 과업은 이처럼 새로운 억압체계에..

사유(思惟) 2022.01.19

아펠과 하버마스의 담론윤리의 의미

아펠과 하버마스의 담론윤리의 의미-매체윤리와 관련해서- 이재성(계명대) [한글 요약] 이 글은 아펠과 하버마스에 의해 주장된 담론윤리가 매체윤리를 위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담론윤리는 의사소통에 가장 중요한 규범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윤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펠과 하버마스의 담론윤리는 의사소통이 중심을 이루는 매체윤리의 문제를 명시적으로 취급하지 못한 결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담론윤리가 매체윤리에 대해 어떠한 근본적 의미를 갖는지가 규명되고, 담론윤리가 현대 다원주의 사회의 토대인 상호이해를 위한 철학적 근거를 어떻게 마련하고 있는지가 모색된다. 이러한 논의의 과정으로 첫째, 철학적 근원지로 가는 길로서 담론윤리의 두 통로(아펠과..

사유(思惟) 2022.01.19

하버마스에서 해방의 문제

하버마스에서 해방의 문제 김재현(경남대 교수, 철학과) 1. 들어가는 말 하버마스(1929- )는 지난 20여년 동안 가장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회철학자이다. 그는 영미의 철학과 경험주의적 성과를 독일철학의 전통 안에 포괄하면서, 사회학, 심리학, 언어학, 정치학, 역사학 등의 연구를 통해 유럽사회에 대한 현실적 분석과 참여, 이론과 실천의 통합 시도, 정통 맑시즘 비판,민주주의와 학생운동에 대한 논쟁, 실증주의 논쟁 ,해석학 논쟁, 체계이론 논쟁,포스트모더니즘 논쟁, 신사회운동 논쟁, 시민사회 논쟁, 역사가 논쟁,형이상학 논쟁 등 여러 논쟁 속에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이성'에 대한 신뢰를 확고하게 갖는 '계몽주의자'로서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2. 삶과 저작 하버마스는 파시즘의 등..

사유(思惟) 2022.01.19

하버마스의 사회이론

하버마스의 사회이론 정철희 (전북대 교수, 사회학) 일찍이 리히트하임이 하버마스를 평하면서, 하버마스의 동년배들이 자기 전공분야의 한 구석을 힘겹게 정복하고 있을 때 과학론, 지식사회학, 형이상학 등 방대한 서구의 고전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들을 하나의 새로운 지적 체계로 재구성한 데 대해 경탄해 마지 않은 적이 있을 만큼 하버마스는 근 40년간 유럽과 세계의 인문사회과학 연구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사람 중의 하나라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Bernstein, 19 85: 1).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하버마스의 사회이론에 대한 과도한 예찬이나 일방적 폄하를 지양하고 그 성과와 문제점을 동시에 검토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하버마스의 연구 중 물화와 비판의 근거에 관한 연구는 하버..

사유(思惟) 2022.01.19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개념을 중심으로

법적 판단의 합리성에 관한 연구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개념을 중심으로 엄 순 영 Ⅰ. 법적 판단의 합리성에 대한 모색 1. 법률적 삼단논법 법률조문(대전제)에 사안(소전제)이 결부되면 자동적으로 판결(결론)이 획득된다는 법률적 삼단논법은 실무법률가들의 의식을 소박하게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법률적 삼단논법은 우선 '당해 사건에 맞는 법률을 찾아내어 그 사실관계에 법을 적용하면 된다'는 것, 즉 법적 추론과정에 대한 형식적인 틀을 알려 준다. 이는 모든 사실관계에 적합한 법률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암암리에 전제하고 있고, 법적으로 중요한 사실관계만을 찾아내면 나머지 사실관계들은 법적 판단에서 쓸모 없는 것으로 배제해 버린다. 그리고 사실관계는 법의 독특한 도그마틱 원리에 따라 정비되고 순위..

사유(思惟) 2022.01.19

화이트헤드 철학의 궁극적 목표

화이트헤드 철학의 궁극적 목표 문창옥 화이트헤드의 궁극적 목표는 문명의 쇠퇴를 막고 창조적 전진을 부추기는 데 있었다. 그에게 있어 형이상학적 사변은 문명을 위한 사유의 모험이요, 그 산물로서의 형이상학적 우주론은 이 모험의 결실이다. [모든 것은 흐른다] “모든 것은 흐른다.” 이것은 서구 철학적 사유의 기원에 놓인 우주의 실상에 대한 근원적 직관이다. 그러나 이 근원적 직관은, 존재와 사유의 일치를 기점으로 진정한 존재의 동일성을 역설했던 엘레아(Elea) 학파의 논리에 의해 곧바로 허상으로 정리되었다. 진정한 의미의 존재, 사유 가능한 존재는 불변적 동일자이다. 감각이 포착하는 유동하는 세계는 사유 불가능하기에 진정한 존재가 아니며, 진정한 존재가 아니기에 사유될 수 없다. 서구의 정통 철학은 이런..

사유(思惟) 2022.01.19

화이트헤드 철학의 궁극자의 범주

화이트헤드 철학의 궁극자의 범주 김 영 진 (대가대) 한글요약 서구 철학에서 시간의 요소와 결부해서 실재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시작된다. 대표적인 사상가로 베르그송, 하이데거 등의 철학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철학은 범주의 형태로 주어진 것은 아니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은 체계적인 형태로 과정범주를 구성한다. 이것은 화이트헤드의 궁극자 범주를 통해서 잘 드러난다.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서 궁극자의 범주는 창조성, 다자, 일자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서양철학은 정태적인 동일자를 궁극자로 간주하였다. 즉 영속하고 불변하는 실체를 통해서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화이트헤드는 우리의 경험의 가장 구체적인 요인은 과정으로 보았으며, 그것은 다자가 일자로 통합되는 형식으로..

사유(思惟) 2022.01.19

화이트헤드(A.N Whitehead)의 유기체 철학에 있어서 궁극자

화이트헤드(A.N Whitehead)의 유기체 철학에 있어서 궁극자 최 상 균 [한글요약] 본 논문은 우주(cosmos)가 어떻게 생성되었으며 어떻게 우주가 연속적인 과정(pro- cess)으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해명을 밝힌 글이다. 화이트헤드는 우주가 현실적 존재자(actual entity)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물론 우주는 현실적 존재자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다. 우주는 현실적 존재자의 연대(solidarity)이다. 유기체 철학(Philosopy of Organism)의 원리는 이미 주어진 존재자(entity) 들과 다른 하나의 새로운 존재자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전통적인 철학에서는 존재자를 만들고 그 존재자를 주재하는 존재를 절대자, 신, 실체(substance) 등으로 불렀..

사유(思惟) 2022.01.19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과 사회생물학적 논쟁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과 사회생물학적 논쟁* 정 연 홍·최 상 균(충남대) [한글요약] 이 연구에서 논자들은 사회생물학의 생물학적 결정론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의 철학의 입장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화이트헤드는 그의 주저 {과정과 실재}(Process and Reality)에서 현실적 계기(actual occasion)는 어떠한 미결정성도 지니지 않는 완전히 결정된 사태라고 지적하였다. 이것이 사회생물학 논쟁의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는 유전자 결정론에 커다란 시사를 할 수 있는 문제이다. 화이트헤드는 현실적 존재자의 결정적 통일성이 짜여지게 되는 것은 여건의 여러 결정 및 미결정에 점진적으로 관계함으로써 한정된 어떤 이상을 향해 점진적으로 나아가는 목적인에 의해서라고 하였다. 목적은 만족(satisfa..

사유(思惟) 2022.01.19

화이트헤드의 상대성 원리와 범주도식

화이트헤드의 상대성 원리와 범주도식 안형관*·이태호** 이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상대성 원리가 어떻게 그의 범주도식에서 한 원리로 정착되었으며, 또한 이 원리가 그의 범주도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그런데 상대성 원리의 핵심 용어인 상대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인류의 인식 근저에 절대성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논자는 이 절대성이 인류의 인식 속에서 어떻게 타파되어 왔는가를 먼저 고찰한다. 첫째, 고대 희랍인들이 갖고 있던 공간방향 절대성을 타파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방향 상대성을 고찰한다. 둘째,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 근저에 있었던 공간위치 절대성을 타파한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뉴턴 등의 공간위치 상대성을 고찰한다. 셋째, 뉴턴 등의 인식을 지배했던..

사유(思惟)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