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思惟) 975

현상학과 해석학; Husserl, Heidegger, Gadamer

현상학과 해석학 - Husserl, Heidegger, Gadamer 이 남 인 (서울대 철학과 교수) 목차 1. 들어가는 말 2. Husserl의 정적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 3. Heidegger의 Husserl 비판과 해석학적 현상학 1) Heidegger의 Husserl 비판의 성격 2) 지향성 개념에 대한 비판과 ぢ심려っ(Sorge) 구조의 발견 3) 현상학적 해석의 방법 4)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성 5) Husserl과 Heidegger의 관계: 양자 사이의 대화의 필요성 4. Husserl, Heidegger와 Gadamer의 해석학 1) Husserl과 Heidegger의 영향과 Gadamer의 해석학의 과제 2) Gadamer의 해석학의 출발점 3) 해석학적 현상의 근본 구조 4) Gada..

사유(思惟) 2024.11.26

리오타르에 있어 언어, 지식, 정의

리오타르에 있어 언어, 지식, 정의이 현 복(외국어대)1.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비판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간의 삶의 양식이나 문화도 변하기 마련이다. 얼마 전부터 우리에게 친숙하게 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사조는 21세기를 목전에 둔 서구 철학계를 강타한 사조들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른바 3H라고 불리워지는 헤겔․후설․하이데거의 사변적 관념철학․현상학․실존철학이 독일에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가 프랑스에서, 분석 철학이 영미에서 한 시대를 풍미하고 지나가고 있을 즈음, 프랑스를 중심으로 기존의 이론․행위․문화에 대한 재비판 형식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철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지금․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시대정신의 이해, 나아가 그것의 창출을 표방하고 있다면, ..

사유(思惟) 2024.11.26

리오따르의 포스트 모던 철학

리오따르의 포스트 모던 철학  양운덕(고대 교수, 철학) 1.들어가는 말장 프랑소아 리오따르는 포스트 모던을 대표하는 이론가이다. 이 글에서는 그의 포스트 모던 조건과 포스트 모던 정치학에 관한 분석을 그 이론적 배경과 함께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그의 주된 입장은 모던의 이성, 총체성에 중심을 둔 사고가 아우슈비츠와 스탈린주의로 대변되는 전체주의의 뿌리라고 본다. 따라서 그는 어떤 형태의 총체성도 받아들이지 않으며 그 총체성,동일성에 뿌리를 둔 사고를 해체하려고 한다.먼저 포스트 모던의 문제의식을 분명히 하기 위해 모던/포스트 모던에 대해 정의하기로 하자. ‘모던’이란 서구의 현대를 주도해 온 사상적 흐름인 계몽주의적 전통, 또는 이성중심주의적 태도를 가리킨다. 서구에서 계몽주의는 인간 주체와..

사유(思惟) 2024.11.26

노 장 과 해 체 론, 개방성의 기원에 대하여

노 장 과  해 체 론, 개방성의 기원에 대하여 김상환(서울대)최진석(서강대)    노장은 동양의 해체론이고, 해체론은 서양의 노장이다. 서양 철학은 해체론을 발판으로  동양으로 다가오고 있다. 동양 철학은 노장이 있어 서양의 첨단에 손을 내밀 수 있다. 노장은 해체론을 통하여 미래화될 수 있으며, 해체론은 노장과 더불어 탈서양의 꿈을 이룰 수 있다. 2천년의 역사를 통해서 분화되어 온 동양과 서양에 대하여 노장과 해체론은 그 만남을 대신하는 견우와 직녀이다. 그러나 이 설레이는 만남의 예식은 조심스럽게 준비되어야 한다. 여러번의 시행착오도 무릅써야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특히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난점 때문이다. 첫번째 난점은 노장과 해체론 사이에서 쉽게 관찰되는 유사성에 있다. 이는 그 표면적 유..

사유(思惟) 2024.11.26

김상환,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김상환,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문학과지성사, 2012   인문학은 무엇보다 상상력의 차원에서 사물 옆으로 비스듬히 서는 습성이 있고, 이 점에서 다른 종류의 학문과 구별된다. 인문학에 관하여 독창적인 글을 남긴 이태수 교수에 따르면, 자연학에서 주체와 대상은 직지향intentio recta의 관계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인문학에서 그 관계는 사지향intentio obliqua에서 시작된다. 바로 이것이 인문적 사유의 유별난 특징이자 한계다. 〔……〕 셰익스피어의 「리처드 2세」(2막 2장 도입부)에는 “슬픔에 잠긴 눈은 눈물로 흐려져 단 하나의 사물도 여러 개로 보이는 법입니다. 마치 사선 원근법 화면과 같이 그것을 정면으로 보면 무엇인지 가릴 수 없지만, 비스듬히 삐딱하게 보면 그 형태가..

사유(思惟) 2024.11.26

하버마스에서 모더니티의 기획과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김재현 경남대 철학과  교수1.서론2.모더니티의 원리3.의사소통행위 이론에 기초한 비판의 입지점4.포스트 모더니티에로의 진입-니체 해석5.하이데거, 데리다 해석6.바따이유, 푸꼬 해석-총체적 이성비판에 대한 반비판7.의사소통론적 해방론과 포스트모더니즘적 해방론의 비교1.서론하버마스에 의하면 18세기 계몽주의자들에게 공통적인 모더니티의 기획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근(현)대의 기획은 객관화하는 과학, 도덕과 법의 보편주의적 토대, 자율적 예술을 각각의 고유한 의미에 따라 발전시킴과 〈동시에〉 또한 그렇게 축적된 인식적 잠재력을 그들의 폐쇄적이고 비밀스런 형태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실천, 즉 생활상태의 이성적인 형성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다."1)즉 근대의 기획은 과학, 도덕, 법, 예술의 발달이 인간 ..

사유(思惟) 2024.11.26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한 철학적 이해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한 철학적 이해(Philosophical Explanation On Postmodernism)- 최 재식 강릉대 철학목 차 Ⅰ. 들어가는 말Ⅱ. 모더니즘1. 근・현대에 있어서 자연과학의발전과 모더니즘의 시작2. 철학적 모더니즘인 17세기철학의 특징Ⅲ. 포스트모더니즘1. 계몽의 변증법 :호오크하이머와아도르노 2. 이성의 확장 :메를로 - 뽕띠3. 이성과 정상개념에 관한고고학 및 계보학적 연구 : 푸코4.타자의 형이상학 : 레비나스5.해체론 : 데리다Ⅳ. 마치는 글 :지식의 포스트모던적 조건Ⅰ.들어가는 말오늘날 학문, 문학, 예술, 사회 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유행처럼 퍼져있는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과연 무엇인가? 이 물음이 우리에게 바로 시사해 주는 또 하나의 물음은 “모더니즘”(Mode..

사유(思惟) 2024.11.26

숭고와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숭고와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김 현 돈*제주대 철학숭고의 개념은 고대 수사학에서 최초로 나타났으나 문화적으로는 근대 정신의 산물이다. 고대 로마의 롱기누스에 의해 처음 미학의 역사에 등장한 숭고는 그 이후 오랫동안 미학의 관심 영역 밖에 머물다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 근대 미학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미적 범주로 자리 잡았고, 최근에는 포스트모던한 감수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다시금 광범위한 관심을 끌고 있다.이 글에서는 칸트 미학의 체계에서 숭고의 이론이 어떻게 제기되는지 검토한 후, 료따르가 칸트의 숭고 이론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아방가르드의 논리에 접목시켜 포스트모던의 예술론을 전개하는지를 살피고 있다. 료따르는 우리의 상상력과 지각 능력을 초월하는 자연 대상의 몰형식성이 마음 속에서 이성..

사유(思惟) 2024.11.26

데리다와 보르헤스의 글쓰기

박 종 혁(외대)국문요약  30년대를 전후하여 발표된 단편집 ꡔ픽션들Ficcionesꡕ, ꡔ알렙Alephꡕ과  ꡔ또 다른 심문Otras Inquisicionesꡕ 등의 에세이집을 통해서 보르헤스의 문학은 이미 정점에 도달했지만 그의 작품이 세계문학의 범위에서 평가받기 시작한 것은 61년 포멘터 상의 수상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20년대 이후로 프랑스에 단편적으로 소개되던 보르헤스의 작품들은 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의 지성인들이 아르헨티나로 망명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보르헤스는 세계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프랑스의 인정과 존경을 받게 되었으며 현대 프랑스의 문학과 사상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보르헤스의 영향과 흔적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다. 데리다는 보르헤스의 단편들과 에세이들을..

사유(思惟) 2024.11.26

해체론에서 초월론으로, 데리다의 구조주의 비판

해체론에서 초월론으로, 데리다의 구조주의 비판김 상 환(서울대 철학과 교수)철학은 초월적일 때만 철학적일 수 있다. 이는 철학이 사실에 대한 물음이 아니라는 것과 같다. 사실에 대한 추구, 나아가서 직접적 의미에 대한 추구가 아니라는 점에서 철학은 과학이 아니다. 과학과 달리 철학은 어떤 권리에 대한 물음이다. 과학적 탐구는 언제나 이 권리에 대한 물음에 종속되어 있다. 칸트가 사실의 문제에만 집착했다고 비판했던 영국 경험론마저 어떤 권리 증명의 기획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이유에서만 그것은 정당한 자격의 철학이었다. 사실의 기원, 의미의 의미, 경험의 배후를 묻는다는 점에서 철학은 현실의 정당성에 대한 권리 증명의 문제를 제기하는 입법적 사유이다. 이 입법적 사유는 현실에 대한 다양한 권리 부여와 ..

사유(思惟)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