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한 인생’과 ‘거부할 수 없는 타인들’ “미개인은 자기 자신 속에서 살고 있으나 사회인은 언제나 자기 밖에 존재하며 타인의 의견 속에서만 살아간다. 말하자면 자기가 존재하고 있다는 느낌을 타인의 판단에 의해 느낀다는 것이다.”(21) “우리에게는 미덕도 행복도 없고, 신은 인류의 타락에 대한 해결책도 없이 우리를 버렸다고 생각.. 사유(思惟) 2009.01.2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뛰어난 유머 감각을 자랑하던 하디는 만큼 사람의 애를 태우는 일이 또 어떤 게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평소 배 타는 것을 무서워하던 그는 결국 다음과 같은 가상의 상태를 만들어냈다. 내가 반드시 배를 타고 여행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 온다면 나는 맨 먼저 내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전보를 칠 것이다. 나는 방금 리만Riemann의 가설을 풀었다네. 여행에서 돌아오면 자세한 내용을 들려주지. 리만의 가설은 19세기 수학자들을 끔찍하게 괴롭혔던 수학 문제이다. 이렇게 전보를 친 하디는 이제 마음 놓고 항해를 할 수 있다. 왜 그럴까? 만일 하디가 물에 빠져 죽는다면 수학자들은 이외에 또 하나의 괴물한테 시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순진한 수학자들에게는 너무나도 가혹한 형벌이어서, 자비로운 신이 하디의 목숨을.. 사유(思惟) 2009.01.21
또 다른 나에게로 가는 일기 제1장 끝없는 사랑 나는 무서울 만큼 그를 사랑한다 - 소설가 톨스토이 백작 부인 순결하고 깊은 이 사랑을 어찌하랴! - 고생물학자 레스터 프랭크 워드 난생 처음 여인의 향기를 맡았다 - 철학가 앙리 프레드릭 아미엘 생의 고민! 이루지 못할 비참한 사랑! - 문학가 조르주 상드 애인 옆에서는 다른 생.. 사유(思惟) 2009.01.21
사르트르의《지식인을 위한 변명》 “지식인의 가장 직접적인 적은 내가 ‘사이비 지식인’이라고 부르려 하는 자들, 니장 Nizan이 <집 지키는 개>라고 이름지어 주었던 자들이다. 이들은 지배 계급의 사주를 받아 자칭 엄격한 논리 - 말하자면 과학적 연구 방법의 산물인양 제시되는 논리 -를 통해 특수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려.. 사유(思惟) 2009.01.21
제9장 - 공을 이루었으면 물러날 때를 알아야 한다 제9장 - 공을 이루었으면 물러날 때를 알아야 한다 持而盈之, 不如其已. 취而銳之, 不可長保. 지이영지, 불여기이. 취이예지, 불가장보. 金玉萬堂, 莫之能守. 富貴而驕, 自遺其咎. 금옥만당, 막지능수. 부귀이교, 자유기구. 功遂身退, 天之道. 공수신퇴, 천지도.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무리해서 계속 유지.. 사유(思惟) 2009.01.20
나는 탐닉한다, 고로 존재한다. 홍차는 이미 내게 '마시는 것' 이상의 그 무엇이다. 홍차를 많이 마신 사람들은 홍차를 친구에 비유하고 인생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이제 어렴풋이 그 의미를 알 것 같다. 홍차는 내 삶의 일부분을 함께 하고 나의 혼잣말을 들어준 친구 같은 존재다. --- 머리말 중에서 어느 홍차폐인의 향기로운 기록 ".. 사유(思惟) 2009.01.20
중얼거림에서 대화로, 장정일의 독서일기 “어렸을 때부터 책을 읽으면서, 독서에 관한 내 관념은 몇 차례나 바뀌었다. 젊었을 때는 그저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수단으로 책을 읽었다. 그때 책은 아파트 평수를 넓혀가는 것과 같이 내 개인적인 재산이었다. 그런데 이제 와서는 다른 사람과 이해와 사랑을 나눈 방법으로 책에 대해 생각하게.. 사유(思惟) 2009.01.20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 내 소설의 제목은, 쓰여질 당시에는 『수도원의 범죄사건(Murder in the Abbey)』이었다. 그러나 나는 이 제목을 파기했다. 그 까닭은 독자들의 관심을 미스테리 자체에만 쏠리게 할 가능성이 농후하고, 독자들이 액션으로 가득한 약간은 황당 무계한 책으로 오해하고 책을 살까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사실 .. 사유(思惟) 2009.01.20
고민하는 인간 '호모 페이션스'로 살기 고민하는 인간 '호모 페이션스'로 살기 [북데일리] 21세기인 지금 우리는 고민이 많다. 전 세계에 몰아닥친 경제위기의 여파는 우리의 가정에까지 이르고 있다. 또 자본주의의 역기능인 부의 불평등과 지구 온난화 등 우리의 삶을 걱정스럽게 만드는 요인은 많다. 그러나 사람들은 고민하지 않는다. 낙.. 사유(思惟) 2009.01.19
제8장 -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제8장 -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상선약수. 수선이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악.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고기어도.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부쟁, 고무우. 최.. 사유(思惟) 200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