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6 20

[대림 시기] 허리를 '펴고anakypsate' 머리를 '들어라eparate'(루카21,28)

허리를 '펴고anakypsate' 머리를 '들어라eparate'(루카21,28) 다해의 시작 루카21,25-28. 34-3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5"해와 달들에게는 표징들이 나타나고, 땅에서는 바다와 거센 파도 소리에 자지러진 민족들이 공포에 휩싸일 것이다. 26 사람들은 세상에 닥쳐오는 것들에 대한 두려운 예감으로 까무러칠 것이다. 하늘의 세력들이 흔들릴 것이기 때문이다. 27 그때에 사람의 아들이 권능과 큰 영광을 떨치며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볼 것이다. 28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하거든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기 때문이다. 34.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 그리고..

백서(帛書) 2024.11.26

해석학과 해체주의 : 가다머와 데리다의 논쟁

해석학과 해체주의 : 가다머와 데리다의 논쟁   정기철  1. 들어가는 말  해석학사에서 가다머와 관련된 논쟁사를 정리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논쟁사를 정리하다보면 해석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쉽게 알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가다머와 관련된 주요 논쟁은 서너 번 있었다. 제일 먼저, 해석학의 객관적 요청을 주장한 베티와 “해석학은 더 이상 방법론이 아니다”라고 주장한 가다머 사이에 60년대 초반에 있었다. 그 다음 “전승된 전통에 대한 비판과 수용” 문제로 하버마스와 가다머 사이에 이데올로기 비판과 해석학 논쟁1)이 60년대 말에 있었다. 그리고 80년대에 들어서도 “이해의 통일과 이해의 다름”에 대한 논쟁이 데리다와 가다머 사이에 있었다.  이미 여러 해석학자들에..

사유(思惟) 2024.11.26

메를로-뽕띠 현상학에서 세계의 축으로서의 신체에 대한 연구

메를로-뽕띠 현상학에서 세계의 축으로서의 신체에 대한 연구김 병 환*부산대 철학이 글은 나의 것인 나의 신체가 세계의 열기와 가역성의 존재이고 세계의 축과 원초적 표현으로서 세계 표현의 축임을 밝히는 데에 있다. 현상학적 존재론의 길을 위한 메를로-뽕띠의 철학적 탐구는 과학적 인식과 이론적 작업이 그 활동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그것들의 기원을 망각한다는 사실에 대한 비판을 나타내고, 그러한 탐구는 신체의 인식에 관한 지성주의적 인식에 대한 비판이다.메를로-뽕띠에 있어서 나의 실제적 신체는 항상 나의 행동들에 나타나지 않는 심층적인 실존의 양상을 가리키고 있다. 나의 행동들의 실재성은 나의 경험과 분리될 수 없다. 나의 신체적 운동은 객관적 영역 속에 위치지워지는 것이 아니라, 현상적인 것의 질서 속에 위치..

사유(思惟) 2024.11.26

니체의 Übermensch에 있어서 Über와 Mensch의 의미

니체의 Übermensch에 있어서 Über와 Mensch의 의미  정 영 도  1. 서  언 니체(Friedrich Nietzsche)에 있어서 Übermensch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두루 알려진 바와 같은 그런 인간의 이상적인 존재전형(存在典型)도 아니고 또 초감성적(超感性的)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그런 초월적 존재도 아니고 또 현실세계에서 神의 계시를 받고 초능력을 발휘하는 超人(Superman)1)은 더욱 아니다. Übermensch는 「힘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의 구현이고 개인마다 자기의 내면에서 자기가 자기 자신을 생장(生長)시키고 향상시키고 강화시키고자 하는 활동이며 동시에 「힘에의 의지」로서 자기자신을 부단히 고양(高揚)시켜 나가는 내재적 자기초극(自己超克)이다..

사유(思惟) 2024.11.26

생성과 가상에 근거한 니체의 미학

생성과 가상에 근거한 니체의 미학       심 재 민(연세대)      1. 들어가면서  니체는 역사를 문화의 관계망 속에 끌어 들여 파악하며, 문화는 다시금 삶을 그 중심점에 두고서 모든 문제를 풀어 나간다. 니체의 현대 비판은 삶을 기준으로 삼지 않고 있는 문화에 대한 비판과 궤적을 같이한다. 비판 대상은 학문과 예술, 종교와 도덕뿐만 아니라 광의의 의미에서 전통 형이상학이라고 볼 수 있는 존재중심적 사고까지 포함한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 (Wille zur Macht)’라는 개념을 가지고 삶의 본질을 도덕적 善惡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을 넘어서 설명해 나간다. 그는 ‘고통 (Schmerz)’ 내지는 ‘고뇌 (Leiden)’와 ‘쾌감 (Lust)’이라는 두 개념을 중심으로 전통 철학으로 풀 수 없는 ..

사유(思惟) 2024.11.26

앙리 베르그송의 <있는 바 그대로의 것 le donné immédiat>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앙리 베르그송의 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박 치 완*한국외대요 약 문베르그송의 철학은 다채색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철학영역에서는 물론이고 과학, 종교, 예술 등의 영역에 걸쳐서까지 아주 다양하게 베르그송의 텍스트들이 읽힌다. 베르그송에 관한 국내․외의 논문들을 보면 그가 얼마나 다양하게 읽히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다. 그런데 베르그송 철학의 원천지(源泉地)라 할 수 있을 과 관련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아쉬운 일이다. 왜냐하면 베르그송에게 있어 이 이 참구(參究)되지 않고서는 그의 철학의 핵심을 이해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본고에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을 화제(話題)로 삼아 보았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베르그송이 강조한 대로, 이 결코 ..

사유(思惟) 2024.11.26

후기 메를로-뽕띠 철학에서 살의 키아즘에 대하여

후기 메를로-뽕띠 철학에서 살의 키아즘에 대하여장 문 정*고대 철학메를로-뽕띠가 죽기 전 9년 간의 철학적 여정은 그의 체계적인 저작들의 부재로 상대적으로 침묵 속에 남아 있다. 그의 파편적인 작업 노트를 통해서 우리가 그나마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현상학적 체계에서 존재론적 체계로의 전환을 꾀하려 했다는 것인데, 본고는 이러한 그의 존재론적 전환을 살의 키아즘을 통해서 모색하는 하나의 존재론적 퍼스펙티브이다. 전기에 그는 익명적 신체를 근원으로 하는 현상학적 체계를 전개시켰던 반면, 후기에 그는 신체의 코기토적 성격을 거세하기 위해 신체라는 용어와 더불어 살이라고 하는 존재론적 상징을 사용하게 된다. 고대 자연 철학의 원소들과 유사한 상징인 살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들로 변형될 수 있는 근원적인..

사유(思惟) 2024.11.26

현상학과 해석학; Husserl, Heidegger, Gadamer

현상학과 해석학 - Husserl, Heidegger, Gadamer 이 남 인 (서울대 철학과 교수) 목차 1. 들어가는 말 2. Husserl의 정적 현상학의 이념과 방법 3. Heidegger의 Husserl 비판과 해석학적 현상학 1) Heidegger의 Husserl 비판의 성격 2) 지향성 개념에 대한 비판과 ぢ심려っ(Sorge) 구조의 발견 3) 현상학적 해석의 방법 4)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성 5) Husserl과 Heidegger의 관계: 양자 사이의 대화의 필요성 4. Husserl, Heidegger와 Gadamer의 해석학 1) Husserl과 Heidegger의 영향과 Gadamer의 해석학의 과제 2) Gadamer의 해석학의 출발점 3) 해석학적 현상의 근본 구조 4) Gada..

사유(思惟) 2024.11.26

리오타르에 있어 언어, 지식, 정의

리오타르에 있어 언어, 지식, 정의이 현 복(외국어대)1.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비판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간의 삶의 양식이나 문화도 변하기 마련이다. 얼마 전부터 우리에게 친숙하게 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사조는 21세기를 목전에 둔 서구 철학계를 강타한 사조들 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른바 3H라고 불리워지는 헤겔․후설․하이데거의 사변적 관념철학․현상학․실존철학이 독일에서,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가 프랑스에서, 분석 철학이 영미에서 한 시대를 풍미하고 지나가고 있을 즈음, 프랑스를 중심으로 기존의 이론․행위․문화에 대한 재비판 형식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철학적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지금․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시대정신의 이해, 나아가 그것의 창출을 표방하고 있다면, ..

사유(思惟) 2024.11.26

리오따르의 포스트 모던 철학

리오따르의 포스트 모던 철학  양운덕(고대 교수, 철학) 1.들어가는 말장 프랑소아 리오따르는 포스트 모던을 대표하는 이론가이다. 이 글에서는 그의 포스트 모던 조건과 포스트 모던 정치학에 관한 분석을 그 이론적 배경과 함께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그의 주된 입장은 모던의 이성, 총체성에 중심을 둔 사고가 아우슈비츠와 스탈린주의로 대변되는 전체주의의 뿌리라고 본다. 따라서 그는 어떤 형태의 총체성도 받아들이지 않으며 그 총체성,동일성에 뿌리를 둔 사고를 해체하려고 한다.먼저 포스트 모던의 문제의식을 분명히 하기 위해 모던/포스트 모던에 대해 정의하기로 하자. ‘모던’이란 서구의 현대를 주도해 온 사상적 흐름인 계몽주의적 전통, 또는 이성중심주의적 태도를 가리킨다. 서구에서 계몽주의는 인간 주체와..

사유(思惟)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