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를 '펴고anakypsate' 머리를 '들어라eparate'(루카21,28)
다해의 시작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다> 루카21,25-28. 34-3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5"해와 달들에게는 표징들이 나타나고, 땅에서는 바다와 거센 파도 소리에 자지러진 민족들이 공포에 휩싸일 것이다. 26 사람들은 세상에 닥쳐오는 것들에 대한 두려운 예감으로 까무러칠 것이다. 하늘의 세력들이 흔들릴 것이기 때문이다. 27 그때에 사람의 아들이 권능과 큰 영광을 떨치며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사람들이 볼 것이다. 28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하거든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기 때문이다. 34.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 그리고 그날이 너희를 덫처럼 갑자기기 닥치지 않게 하여라. 35그날은 온 땅위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들이닥칠 것이다. 36 너희는 앞으로 일어날 이 모든 일들에서 벗어나 사람의 아들 앞에 설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깨어 기도하여라." |
[강론1]프란치스코 교황 (마르코 13,33-37)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베드로 광장이 보이는 창가에서 여러분을 만나지 못하고 저의 숙소인 카사 싼타 마리아에서 스크린을 통해서 여러분을 뵙고 있습니다. 저의 건강이 좋아지고 있지만 목소리가 여전히 좋지 않아서 브라이다 몬시뇰께서 읽겠습니다. 오늘, 대림 제1주일의 짧은 복음에서 (마르코 13,33-37)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단순하고 직접적인 권고를 즉, “깨어 있어라.”를 3번 말씀하십니다. (33, 35, 37절) 따라서 주제는 경계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때로 우리는 이 미덕을 임박한 파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생기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운석이 하늘에서 떨어져서 제 때에 피하지 않으면 우리를 덮칠 것이라고 위협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히 크리스천 경계가 아닙니다.
Jesus illustrates it with a parable, speaking about a master who will return, and about his servants who await him (cf. v. 34). The servant in the Bible is the “trusted person” of the master, with whom there is often a relationship of collaboration and affection. Think, for example, that Moses is defined as the servant of God (cf. Nm 12: 7), and that even Mary says of herself, “Behold, I am the handmaid of the Lord” (Lk 1: 38). So, the servants’ vigilance is not one of fear, but of longing, of waiting to go forth to meet their Lord who is coming. They remain in readiness for his return because they care for him, because they have in mind that when he returns, they will make him find a welcoming and orderly home; they are happy to see him, to the point that they look forward to his return as a feast for the whole great family of which they are a part.
예수님께서는 먼 길을 떠난 주인과 그를 기다리는 종들의 비유를 들어 이것을 설명하십니다. (참조, 34 절) 성경의 종은 주인의 “신뢰받는 사람”으로서 주인과 종 사이에 종종 협력과 사랑의 관계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서 모세는 하느님의 종으로 정의되고 (민수기 12,7 참조) 마리아도 자신에 대해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루카 1,38) 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종들의 경계는 두려움의 경계가 아니고 그리움의 경계, 돌아올 그들의 주인을 맞이하기 위해 나가기를 기다리는 경계입니다. 주인을 돌보기 때문에, 주인이 돌아올 때 주인이 환영받는 느낌을 받고 깨끗이 정리된 집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생각 때문에, 그들은 주인이 돌아오는 것을 항상 대비합니다. 그들은 주인이 돌아오는 것을 그들이 속한 대가족 전체의 축제로 손꼽아 기다릴 정도로 주인을 만나는 것을 기뻐합니다.
It is with this expectation filled with affection that we also want to prepare ourselves to welcome Jesus: at Christmas, which we will celebrate in a few weeks; at the end of time, when He will return in glory; every day, as He comes to meet us in the Eucharist, in His Word, in our brothers and sisters, especially those most in need.
사랑 가득한 이런 기대를 가지고 우리도 예수님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자 합니다. 몇 주 후에 우리 모두 축하할 성탄절에, 그분께서 영광스럽게 돌아오실 세상 끝 날에, 그리고 매일, 그분이 성체 안에, 그분의 말씀 안에, 우리의 형제자매 안에, 특별히 가장 도움이 많이 필요한 사람들 안에 우리를 만나러 오실 때 그분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싶습니다.
So, in a special way during these weeks, let us prepare the house of the heart with care, so that it is orderly and hospitable. In fact, keeping watch means keeping the heart ready. It is the attitude of the sentinel, who in the night is not tempted by weariness, does not fall asleep, but remains awake awaiting the coming light. The Lord is our light and it is good to dispose the heart to welcome him with prayer and to host him with charity, the two preparations that, so to speak, make him comfortable. In this regard, the story goes that Saint Martin of Tours, a man of prayer, after giving half of his cloak to a poor man, dreamed of Jesus clad in that very part of the cloak he had given. Here is a good program for Advent: to encounter Jesus coming in every brother and sister who needs us and to share with them what we can: listening, time, concrete assistance.
그러므로 요 몇 주간 동안 특별한 방법으로, 마음의 집을 잘 정돈되고 환대하는 느낌을 주도록 정성껏 준비합시다. 사실, 깨어 있다는 것은 마음을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밤에 피곤함을 물리치고, 잠들지 않고, 깨어서 다가오는 빛을 기다리는 것이 파수꾼의 태도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빛이시며, 기도로 그분을 환영하고, 사랑으로 그분을 맞이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이 소위 그분을 편안하게 하는 두 가지 준비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기도하는 사람인 투르의 성 마르틴이 자신의 옷의 절반을 가난한 사람에게 준 후에 자신이 준 옷의 바로 그 부분을 예수님께서 입고 계신 꿈을 꾸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기 대림절을 위한 좋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우리를 필요로 하는 모든 형제자매 안에 오시는 예수님을 만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즉 경청, 시간, 구체적인 도움을 그들과 나누는 것입니다.
Dear friends, it will be good for us today to ask ourselves how we can prepare a welcoming heart for the Lord. We can do so by approaching His forgiveness, His Word, His Table, finding space for prayer, welcoming those in need. Let us cultivate His expectation without letting ourselves be distracted by so many pointless things, and without complaining all the time, but keeping our hearts alert, that is, eager for Him, awake and ready, impatient to meet Him. May the Virgin Mary, woman of expectation, help us to receive her coming Son.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오늘 우리는 어떻게 주님을 환영하는 마음을 준비할 수 있는지 자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리는 그분의 용서와 그분의 말씀과 그분의 식탁에 다가가고, 기도할 공간을 찾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환영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무의미한 일들로 우리 자신을 산만하게 하지 않고, 항상 불평하지 않고, 우리 마음을 깨어 있게 유지함으로써 즉 그분을 만나고 싶어 안달이 나고, 깨어서 기다리고, 그분을 열망함으로써 그분께 대한 기대를 가꿉시다. 기대하시는 여인이신 동정 성모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오시는 당신의 아드님을 영접하게 하소서!
POPE FRANCIS ANGELUS, First Sunday of Advent, 27 November 2022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blessed Sunday! In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we hear a beautiful promise that introduces us to the Season of Advent: “Your Lord is coming” (Mt 24:42). This is the foundation of our hope, it is what supports us even in the most difficult and painful moments of our life: God is coming, God is near and is coming. Let us never forget this! The Lord always comes, the Lord visits us, the Lord makes himself close, and will return at the end of time to welcome us in his embrace. Before this word, we ask ourselves: How will the Lord come? And how will we recognize him and welcome him? Let us dwell briefly on these two questions.
[강론2]프란치스코 교황 (마태오 24,42)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전례의 복음에서 우리를 대림 시기로 초대하는 아름다운 약속을 듣습니다. “너희의 주인이 오신다.” (마태오 24,42) 이것은 우리 희망의 기초이고, 우리 삶의 가장 어렵고 고통스러운 순간들에도 우리를 지탱해주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오십니다. 하느님께서 가까이 계시고 하느님께서 오십니다. 이것을 절대로 잊지 맙시다. 주님은 언제나 오시고, 주님은 우리를 찾아오시며, 주님은 가까이 계시고, 마지막 때에 다시 오셔서 우리를 품에 안으실 것입니다. 이 말씀 앞에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주님은 어떻게 오실까?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그분을 알아보고 환영할 것인가?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잠시 생각해봅시다.
The first question: how will the Lord come? Very often we hear it said that the Lord is present on our path, that he accompanies us and speaks to us. But perhaps, distracted as we are by many things, this truth remains merely theoretical for us; yes, we know that the Lord is coming but we do not live according to this truth, or we imagine that the Lord will come in a spectacular way, perhaps through some miraculous sign. And instead, Jesus says that he will come as in “the days of Noah” (cf. v. 37). And what did they do in the days of Noah? Simply, the normal, everyday things of life, as always: “eating and drinking, marrying and giving in marriage” (v. 38).
첫 번째 질문: 주님은 어떻게 오실까요? 아주 자주 우리는 주님께서 우리의 길에 계시며 우리와 동행하시며 우리에게 말씀하신다는 말을 듣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우리는 많은 것들에 정신이 팔려 있어서 우리에게 이 진리는 단지 이론으로만 남아있을지 모릅니다. 예, 우리는 주님이 오신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 진리에 따라 살지 않거나 주님이 아마도 어떤 기적적인 징조를 통해 놀라운 방식으로 오실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이 “노아의 때와 같이” 오시리라고 말씀하십니다. (37 절 참조) 그리고 노아 시대에 그들은 무엇을 했습니까? 늘 하듯이 그들은 삶의 일상적인 일들 즉 “먹고 마시고 장가들고 시집가는 일들”을 하였습니다.“ (38절)
Let us bear this in mind: God is hidden in our life, he is always there – he is concealed in the commonest and most ordinary situations in our life. He does not come in extraordinary events, but in everyday things; he manifests himself in everyday things. He is there, in our daily work, in a chance encounter, in the face of someone in need, even when we face days that seem grey and monotonous, it is right there that we find the Lord, who calls to us, speaks to us and inspires our actions.
이것을 명심합시다. 하느님은 우리 삶 속에 숨어 계시며, 항상 거기에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 삶에서 가장 평범하고 가장 일상적인 상황 속에 숨어 계십니다. 그분은 특별한 사건들 안에 오지 않으시고 일상적인 일 안에 오십니다. 그분은 자신을 일상적인 일에서 드러내십니다. 그분은 우리 일상의 일터에서, 우연한 만남에서,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의 얼굴에서, 우리가 칙칙하고 단조로워 보이는 날들을 마주할 때에도, 거기에 계십니다. 바로 그곳에서 우리는 우리를 부르시고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의 행동에 영감을 주시는 주님을 발견합니다.
However, there is a second question: how can we recognize and welcome the Lord? We must be awake, alert, vigilant. Jesus warns us: there is the danger of not realizing his coming and being unprepared for his visit. I have recalled on other occasions what Saint Augustine said: “I fear the Lord who passes by” (Sermons, 88, 14.13), that is, I fear that he will pass by and I will not recognize him! Indeed, Jesus says that those people in the time of Noah ate and drank “and they did not know until the flood came and swept them all away” (v. 39). Pay attention to this: they did not realize anything! They were absorbed in their own things and did not realize that the flood was about to come. Indeed, Jesus says that, when he will come, “two men will be in the field; one is taken and one is left” (v. 40). In what sense? What is the difference? Simply that one was vigilant, he was waiting, capable of discerning God’s presence in daily life, whereas the other was distracted, “pulled along”, and did not notice anything.
그러나 두 번째 질문이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주님을 알아보고 환영할 수 있습니까? 우리는 깨어 있고 경계하고 조금도 방심하지 말아야 합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경고하십니다. 그분의 오심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분의 방문을 준비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저는 다른 계기에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다음과 같이 말한 것을 상기하였습니다. “저는 지나가시는 주님을 두려워합니다.” (강론 88, 14,13) 그것은 저는 그분이 지나가시는데 그분을 알아보지 못할까 봐 두려워 한다는 뜻입니다. 사실 예수님은 노아 시대의 그 사람들이 먹고 마셨고, “홍수가 닥쳐 모두 휩쓸어 갈 때까지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39절)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에 주목하십시오. 그들은 아무것도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일에 몰두하여 홍수가 닥치려고 하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예수님은 자신이 재림하실 때 “그때에 두 사람이 들에 있으면, 하나는 데려가고 하나는 버려둘 것이다.” (40절) 라고 말씀하십니다. 어떤 의미에서 그럴까요?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단지 한 사람은 경계하고 기다리고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분별할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은 주의가 산만해져 “정신이 팔려 있어서” 아무것도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Brothers and sisters, in this Season of Advent, let us be shaken out of our torpor and let us awaken from our slumber! Let’s try to ask ourselves: am I aware of what I am living, am I alert, am I awake? Do I try to recognize God’s present in daily situations, or am I distracted and a little overwhelmed by things? If we are unaware of his coming today, we will also be unprepared when he arrives at the end of time. Therefore, brothers and sisters, let us remain vigilant! Waiting for the Lord to come, waiting for the Lord to come close to us, because he is there, but waiting alert. And may the Holy Virgin, Woman of waiting, who knew how to perceive the passing of God in the humble and hidden life of Nazareth and welcomed him in her womb, help us in this journey of being attentive to wait for the Lord who is among us and passes by.
형제자매 여러분, 이 대림절에 무기력함에서 벗어나 잠에서 깨어납시다. 스스로에게 물어봅시다. 나는 무엇을 살고 있는지 압니까? 경계하고 있습니까? 깨어 있습니까? 나는 매일의 상황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인식하려고 노력합니까? 아니면 주의가 산만해지고 사물에 약간 압도당합니까? 오늘 그분이 오시는 것을 알지 못한다면 우리는 또한 마지막 때에 그분이 오실 때 준비되어 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형제자매 여러분, 늘 깨어 있으십시오! 주님이 오시기를 기다리며, 주님이 우리에게 가까이 오시기를 기다리며, 그분이 거기에 계시기 때문에, 깨어서 기다립니다. 나자렛의 겸손하고 은밀한 삶에서 하느님의 지나가심을 감지하는 법을 아셨고 그분을 자신의 태중에 영접하셨던 거룩하신 동정녀, 기다림의 여인이시어, 우리 안에 계시고 지나가시는 주님을 기다리는데 집중하는 이 여정에 있는 저희를 도우소서!
Holy Father's Address Before the Angelus [Saint Peter's Square] 1st Sunday of Advent (28 November 2021)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The Gospel of today’s liturgy, the First Sunday of Advent, speaks to us about the Lord’s coming at the end of time. Jesus announces bleak and distressing events, but precisely at this point He invites us not to be afraid. Why? Because everything will be okay? No, but because He will come. Jesus will return as He promised. This is what he says: “Stand erect and raise your heads because your redemption is at hand” (Lk 21:28). It is nice to hear this encouraging Word: stand up straight and raise our heads because right during those moments when everything seems to be coming to an end, the Lord comes to save us. We await Him with joy, even in the midst of tribulations, during life’s crises and the dramatic events of history. We await Him.
[강론3]프란치스코교황 (루카 21,25-28, 34-36)
친애하는형제자매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대림절첫째주일인오늘전례의복음은세상끝날에주님께서오시는것에대해얘기합니다. 예수님은황량하고괴로운사건들을선포하시지만바로이시점에예수님께서우리에게두려워하지말라고권하십니다. 왜그렇습니까? 모든것이괜찮을것이기때문입니까? 아닙니다. 그분께서오실것이기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약속하신대로돌아오실것입니다. 그래서예수님께서다음과같이말씀하십니다. “허리를펴고머리를들어라. 너희의속량이가까웠기때문이다.”(루카 21, 28) 이격려의말씀을들으니좋습니다. 똑바로서서우리의머리를들으십시오. 모든것이끝나는것처럼보이는바로이순간에주님께서우리를구원하러오시기때문입니다. 우리는환난가운데서도인생의위기와역사의극적인사건들가운데에서기쁜마음으로그분을기다립니다. 우리는그분을기다립니다.
But how do we raise our heads and not become absorbed with difficulties, suffering and defeat? Jesus points the way with a strong reminder: “Beware that your hearts do not become drowsy… Be vigilant at all times and pray” (Lk 21:34, 36). “Be vigilant”: vigilance. Let us focus on this important aspect of the Christian life. From the words of Christ, we see that vigilance is tied to alertness: be alert, do not get distracted, that is, stay awake! Vigilance means this: not to allow our hearts to become lazy or our spiritual life to soften into mediocrity. Be careful because we can become “sleepy Christians” – and we know there are many Christians who are asleep, who are anesthetized by spiritual worldliness - Christians without spiritual fervor, without intensity in prayer, without enthusiasm for mission, without passion for the Gospel; Christians who always look inwards, incapable of looking to the horizon.
그러나어떻게우리가머리를들고어려움과고통과패배에빠져들지않을수있습니까? 예수님께서강력하게상기시키면서방법을가리키십니다. “너희는스스로조심하여, 방탕과만취와일상의근심으로너희마음이물러지는일이없게하여라. 그리고그날이너희를덫처럼갑자기덮치지않게하여라.” (루카 21,34) “너희는앞으로일어날이모든일에서벗어나사람의아들앞에설수있는힘을지니도록늘깨어기도하여라.” (루카 21,36) “깨어있어라” 깨어있음. 그리스도인의이중요한관점에초점을맞춥시다. 그리스도의이말씀으로부터우리는깨어있음이경계와연결되어있음을압니다. 그것은깨어있는것입니다. 깨어있음은다음을의미합니다. 우리의마음이게을러지거나우리의영적삶이느슨해져서보통이되는것입니다. 우리가 “조는크리스천”이될수있으니조심하십시오. - 많은크리스천들이잠들어있거나영적세속화에마비되어있는것을압니다. - 영적인열심히없고, 기도에간절함이없고, 선교에열의가없고, 복음에열정이없는크리스천입니다. 항상내면을바라보고지평선을내다볼수없는크리스천입니다.
And this leads to “dozing off”: to move things along by inertia, to fall into apathy, indifferent to everything except what is comfortable for us. This is a sad life going forward this way since there is no happiness. We need to be vigilant so that our daily life does not become routine, and, as Jesus says, so we are not burdened by life’s anxieties (cf. v. 34). So today is a good moment to ask ourselves: what weighs on my heart? What weighs on my spirit? What makes me go to sit in the lazy chair? It is sad to see Christians “in the armchair”! What are the mediocrities that paralyze me, the vices that crush me to the ground and prevent me from raising my head?
그리고이것은 "잠들어버림"으로이어집니다. 관성에따라물건을움직이고무감각에빠지고, 우리에게편안한것이외의모든것에무관심합니다. 이런식의삶은슬픕니다. 행복이없기때문입니다. 우리의매일의삶이판에박힌일상이되지않도록그리고예수님께서말씀하신대로삶의근심에짓눌리지않도록우리는깨어있어야합니다. (34절참조) 그러므로오늘은우리자신에게물어볼좋은시간입니다. 무엇이내마음을짓누릅니까? 무엇이내영혼을누릅니까? 무엇이나를안락의자에앉게합니까? “안락의자”에앉아있는크리스천을보는것을슬픕니다. 나를마비시키는평범함, 나를땅바닥에짓밟고고개를들지못하게하는악은무엇입니까?
And regarding the burdens that weigh on the shoulders of our brothers and sisters, am I aware of them or indifferent to them? These are good questions to ask ourselves, because they help guard our hearts against apathy. What then is apathy? It is a great enemy of the spiritual life and also of Christian life. Apathy is a type of laziness that makes us slide into sadness, it takes away zest for life and the will to do things. It is a negative spirit that traps the soul in apathy, robbing it of its joy. It starts with sadness sliding downwards so that there is no joy. The Book of Proverbs says: “With all vigilance guard your heart, for in it are the sources of life” (Prov 4:23). Guard your heart: that means to be vigilant! Stay awake and guard your heart.
그리고우리형제자매들의어깨를짓누르는무거운짐에대해알고있습니까아니면그것들에무관심합니까? 이것들이자신들에게묻는좋은질문입니다. 그런질문들이우리의마음이무감각하게되는것을막아주는데도움이되기때문입니다. 그러면무감각은무엇입니까? 그것은영적인삶과크리스천삶의큰적입니다. 무감각은우리를슬픔에빠지게하는일종의게으름이며, 삶에대한열정과일을하려는의지를빼앗아갑니다. 그것은영혼을무감각의덫에가두고영혼의기쁨을빼앗는부정적인영입니다. 그것은아래로미끄러져내려가서결국기쁨이없는슬픔으로시작됩니다. 잠언은이렇게얘기합니다. “무엇보다도네마음을지켜라. 거기에서생명의샘이흘러나온다.” (잠언 4,23) 당신의마음을지키십시오. 그것은깨어있음을뜻합니다. 깨어있어마음을지키십시오.
And let us add an essential ingredient: the secret to being vigilant is prayer. In fact, Jesus says: “Be vigilant at all times and pray” (Lk 21:36). Prayer is what keeps the lamp of the heart lit.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we feel that our enthusiasm has cooled down. Prayer re-lights it, because it brings us back to God, to the center of things. Prayer reawakens the soul from sleep and focuses it on what matters, on the purpose of existence. Even during our busiest days, we must not neglect prayer. The prayer of the heart can be helpful for us, repeating often brief invocations.
그리고필수요소를추가합시다. 깨어있는비결은기도입니다. 사실, 예수님께서이렇게말씀하십니다. “늘깨어기도하여라.” (루카 21,36) 기도는마음의등불을켜있게하는것입니다. 우리가우리의열정이식었다고느낄때특히그렇습니다. 기도가마음의등불을다시켭니다. 기도가우리를모든것의중심이신하느님께다시데려가기때문입니다. 기도는영혼을잠에서깨우고중요한것, 존재의목적에집중시킵니다. 가장바쁜날에도기도를소홀히해서는안됩니다. 간단한기원을자주반복하는마음의기도는우리에게도움이될수있습니다.
For example, during Advent, we could make a habit of saying, “Come, Lord Jesus.” Only these words, but repeating them: “Come, Lord Jesus”. This time of preparation leading to Christmas is beautiful: we think of the nativity scene and Christmas, so let us say from the heart: “Come, Lord Jesus”. Let us repeat this prayer all throughout the day: the soul will remain vigilant! “Come, Lord Jesus”, is a prayer we can all say together three times. “Come, Lord Jesus”, “Come, Lord Jesus”, “Come, Lord Jesus”. And now we pray to the Madonna: may she who awaited the Lord with a vigilant heart accompany us during our Advent journey.
예를들어, 대림시기에 “오소서, 주예수님!”이라고기도하는습관을들일수있습니다. 이말만반복합니다. “오소서, 주예수님!” 성탄절로이어지는이준비의시간은아름답습니다. 탄생의장면과크리스마스를생각하며마음으로부터기도합시다. “오소서, 주예수님!” 하루종일이기도를반복합시다. 영혼은깨어있을것입니다. “오소서, 주예수님!”을우리모두 3 번함께기도합시다. “오소서, 주예수님!” “오소서, 주예수님!” “오소서, 주예수님!” 이제성모님께기도합니다. 깨어있는마음으로주님을기다리신성모님, 우리의대림여정동안우리와함께하소서!
_
한글번역 : 윤영학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Advent begins today, the liturgical season that prepares us for Christmas, inviting us to raise our eyes and to open our heart to welcome Jesus. During Advent we not only wait for Christmas, we are invited to reawaken the expectation of Christ’s glorious return — when He will return at the end of time –preparing ourselves for the final encounter with Him with consistent and courageous choices. We recall Christmas; we wait for Christ’s glorious return, and also for our personal encounter — the day in which the Lord will call us.
[강론4]프란치스코 교황 (루카 21,25-28, 34-36)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대림절이 시작됩니다. 크리스마스를 맞을 준비를 하고, 예수님을 맞이하기 위해 우리의 눈을 들고 우리의 가슴을 열도록 초대하는 전례시기입니다. 대림기간에 우리는 크리스마스를 기다릴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재림에 대한 기대를 다시 깨우도록 불림을 받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세상 끝에 다시 돌아오실 때, 일관되고 용기 있는 선택으로 그분과의 마지막 만남을 준비합니다. 우리는 크리스마스를 회상합니다.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재림을 기다립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부르시는 날, 그분과의 개인적인 만남을 기다립니다.
During these four weeks we are called to come out of a resigned and habitual way of living, and to come out nourishing hope, nourishing <our> dreams for a new future. This Sunday’s Gospel (Cf. Luke 21:25-28.34-36) points in fact in this direction and puts us on guard against letting ourselves be oppressed by an egocentric lifestyle or by the convulsive rhythm of the days. Jesus’ words resound in a particularly incisive way: “Take heed to yourselves lest your hearts be weighed down with dissipation and drunkenness and cares of this life, and that day come upon you suddenly like a snare. [. . . } ”But watch at all times, praying” (vv. 34.36).
이 4 주간 동안 우리는 체념하고 습관화된 삶에서 뛰쳐나와서 희망에 양분을 주고 새로운 미래에 대한 <우리의> 꿈을 키우도록 부름을 받습니다. 오늘 주일 복음 (루카 21,25-28, 34-36)은 사실 이 방향을 가리키고, 자기중심적인 생활방식 또는 발작적인 리듬의 일상 때문에 억압당하지 말도록 당부합니다. 예수님의 말씀이 매우 예리하게 울립니다.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 그리고 그날이 너희를 덫처럼 갑자기 덮치지 않게 하여라. 너희는 앞으로 일어날 이 모든 일에서 벗어나 사람의 아들 앞에 설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늘 깨어 기도하여라.” (루카 21, 34, 36)
Keep watch and pray: see how this time must be lived from today until Christmas. Watch and pray. The inner sleep stems from turning always around ourselves and remaining blocked in the closure of our life with its problems, its joys, and its sorrows, but always turning around ourselves. And this is tiring, this is boring, this closes us to hope. Here we find the root of the torpor and laziness of which the Gospel speaks. Advent invites us to a commitment of vigilance, looking outside of ourselves, widening our mind and heart to open ourselves to the needs of people, of brothers, and to the desire of a new world. It’s the desire of so many peopled, martyred by hunger, injustice <and> war. It’s the desire of the poor, of the weak, of the abandoned. This time is opportune to open our heart, to ask ourselves concrete questions on how and for whom we spend our life.
늘 깨어서 기도 하여라: 오늘부터 크리스마스까지의 기간 동안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보십시오. 깨어서 기도해야 합니다. 항상 자신 주위만 맴돌고, 우리의 문제, 기쁨, 슬픔에 묻혀 주위에 울타리를 치고 담을 쌓은 채 사는 것으로부터 내적 수면이 생깁니다. 항상 자신의 주위만 맴돕니다. 이것은 피곤하고 지루하고, 우리를 가두어 희망을 볼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복음이 말하는 체념과 게으름의 뿌리를 봅니다. 대림은 우리를 깨어서, 밖을 내다보고, 우리의 머리와 마음을 넓히어, 우리 자신을 열어서 사람들의 필요, 형제들의 필요, 새로운 세상의 열망을 보라고 초대합니다. 그것은 많은 사람들 특히 기아, 부정의 <와> 전쟁으로 순교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우리의 가슴을 열고 자신에게 구체적인 질문을 할 때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누구를 위해 살아야 할까요?
The second attitude to live the time of waiting for the Lord is that of prayer. “Look up and raise your heads, because your redemption is drawing near” (v. 28), admonishes Luke’s Gospel. It’s about rising and praying, turning our thoughts and heart to Jesus who is about to come. We rise when we expect something or someone. We await Jesus; we want to wait for Him in prayer, which is closely linked to vigilance. However, if we think of Christmas in an atmosphere of consumerism, of seeing what I can buy to do this or that, of worldly celebration, Jesus will pass by and we won’t meet Him. We await Jesus and we want to wait for Him in prayer, which is closely linked to vigilance.
주님을 기다리는 시기를 사는 두 번째 태도는 기도입니다.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 너희의 속량이 가까웠기 때문이다.” (28절) 이렇게 루카복음은 권합니다. 곧 오실 예수님께 마음과 가슴을 향하고 일어나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중요한 사건이나 중요한 분을 기다릴 때 일어납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기다립니다. 우리는 깨어있는 것과 긴밀히 연결된 기도 안에서 그분을 기다리길 원합니다. 그러나 크리스마스를 소비주의의 분위기에서, 이것을 하기 위해 또는 저것을 하기 위해 무엇을 살까 하는 생각으로, 세상적인 기념으로 생각한다면 예수님께서는 그냥 지나치실 것이고 우리는 그분을 만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기다리고, 깨어있음과 긴밀히 연결된 기도 안에서 기다립니다.
But what is the horizon of our prayerful waiting? It is indicated to us in the Bible especially by the voices of the prophets. Today it’s that of Jeremiah, who speaks harshly to the people, tried by exile and who risk losing their identity. We Christians, who are also People of God, risk becoming worldly and losing our identity, rather, of “paganizing” the Christian style. Therefore, we are in need of the Word of God who, through the prophet, announces to us: “Behold the days are coming . . . when I will fulfill the promises I made [. . . ]. I will cause a righteous Branch to spring forth for David; and He shall execute justice and righteousness in the land” (33:14-15). And that righteous Branch is Jesus, it is Jesus who comes and whom we await.
우리의 기도 중의 기다림의 끝은 무엇인가요? 성경에, 예언자들의 입으로 알려집니다. 오늘 예언자 예레미야가 유배로 시험을 받고, 정체성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는 백성들에게 강하게 말합니다. 크리스천이고 또한 하느님의 백성인 우리들은 세상적으로 되고 정체성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고 “이방인화” 되는 크리스천 스타일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예언자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말씀을 들을 필요가 있습니다. “보라, 그날이 온다. 그때에 나는 이스라엘 집안과 유다 집안에게 한 약속을 이루어 주겠다. 그날과 그때에 내가 다윗을 위하여 정의의 싹을 돋아나게 하리니, 그가 세상에 공정과 정의를 이룰 것이다.” (예레미야 33,14-15) 그 정의의 싹이 예수님이십니다. 오시는 분, 우리가 기다리는 분이 예수님이십니다.
May the Virgin Mary, woman of waiting and prayer who brings us, Jesus, help us to reinforce our hope in the promises of Her Son Jesus, to make us experience that, through the anguish of history, God always remains faithful and also makes use of human errors to manifest His mercy.
기다림과 기도의 여인이시며 우리에게 예수님을 불러오신 동정 마리아시여, 성모님 아드님의 약속에 대한 우리의 희망을 강하게 하시어, 역사의 고통을 통해서 하느님께서는 항상 성실하시고 인간의 실수를 통해서 자신의 자비를 보여주신다는 것을 체험하게 하소서.
'백서(帛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1일천주의성모마리아대축일]성서 안에서의 마리아 (0) | 2024.12.31 |
---|---|
칼 라너, 그리스도 강생의 신비의 신학적 소고 (0) | 2024.12.25 |
2024년 성모 승천 대축일 메시지 (0) | 2024.08.10 |
6월은 예수 성심 성월 (0) | 2024.05.26 |
오월은 성모 성월 (0) | 2024.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