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1 16

니체의 Übermensch에 있어서 Über와 Mensch의 의미

니체의 Übermensch에 있어서 Über와 Mensch의 의미 정 영 도 1. 서 언 니체(Friedrich Nietzsche)에 있어서 Übermensch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두루 알려진 바와 같은 그런 인간의 이상적인 존재전형(存在典型)도 아니고 또 초감성적(超感性的)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그런 초월적 존재도 아니고 또 현실세계에서 神의 계시를 받고 초능력을 발휘하는 超人(Superman)1)은 더욱 아니다. Übermensch는 「힘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의 구현이고 개인마다 자기의 내면에서 자기가 자기 자신을 생장(生長)시키고 향상시키고 강화시키고자 하는 활동이며 동시에 「힘에의 의지」로서 자기자신을 부단히 고양(高揚)시켜 나가는 내재적 자기초극(自己超克)이다. 그..

사유(思惟) 2024.02.11

니체의 ‘도덕 비판의 도덕’에 관한 연구

니체의 ‘도덕 비판의 도덕’에 관한 연구 박종균(한남대 전임연구원) 1. 들어가면서 니체는 도덕을 오직 비판하고 파괴하려고만 했는가? 아니면 도덕의 비판에 대한 새로운 도덕을 정립시키려 했는가? 이러한 논쟁은 지금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상당수의 권위 있는 니체 해석가들은 니체가 비록 도덕을 신랄하게 비판했지만, 이 과정에서 어떤 가치를 옹호하고 있는 바 그것을 도덕적 가치로 여길 수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즉 니체를 도덕 비판의 도덕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카우프만(Walter Kaufmann)같은 학자는 “승화”(Sublimierung)의 개념을 통해 이를 논증하고자 한다. 그에 의하면 니체의 힘에의 의지, 즉 충동들간의 세력다툼이 의미하는 바는 동물적 본능의 무차별적인..

사유(思惟) 2024.02.11

니체의 언어비판과 근대인식

니체의 언어비판과 근대인식 임 홍 배 머 리 말 니체는 인류의 진보를 약속하는 근대 과학의 환상에 누구보다 미심쩍어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진보’의 크기와 의의는 그것을 위해 희생되어야 했던 모든 것의 양에 의해 측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자신이 견지하는 “역사적 방법론의 기본 관점”이라고 밝히면서, 더구나 그런 관점이 “오늘날의 지배적인 본능과 취향에 반대되는 것이기에 더더욱 강조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1) 니체가 말하는 ‘오늘날의 지배적인 본능과 취향’이란 “모든 사건의 절대적 우연성과 기계론적 넌센스를 결합하려는” 그것이다. 말하자면 역사의 장에서 벌어지는 모든 사건을 ‘해석’하고 ‘평가’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인간의 역사적 행위는 어디까지나 역사적 인간의 주관적 자의에 바탕을 둔 것이면..

사유(思惟) 2024.02.11

니체의 탈현대적 언어이해-진리의 허구성과 허구의 진실성

진리의 허구성과 허구의 진실성 -니체의 탈현대적 언어이해- 이진우(계명대 철학) 목차 1. 니체의 도전과 포스트모더니즘 2. “진리의 허구성”과 해석의 의미 3. 언어의 이중성: 의식의 언어와 신체의 언어 4. 허구의 진실성: 철학에서 수사학으로 1. 니체의 도전과 포스트모더니즘 “다양한 눈들이 있다. 스핑크스도 역시 이러한 여러 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진리들’이 존재한다. 고로 어떤 진리도 존재하지 않는다.”1) 니체는 “실험인”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1885년의 잠언에서 그가 예언하고 있는 20세기와 21세기의 허무주의의 상태를 이렇게 서술하고 있다. 니체가 허무주의의 도래를 예언한지 이미 한 세기가 지나간 현시점에서 허무주의는 이미 현대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표출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사유(思惟) 2024.02.11

니이체와 플라톤 -서구 형이상학의 비판

니이체와 플라톤 -서구 형이상학의 비판 김희준(전북대 교수) Ⅰ.머릿말 니이체와 플라톤이즘; 두명의 철인을 사이에 둔 간격, 2000년을 우리가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가 주요 문제이다. 플라톤과 니이체 사이에는 하이데거도 이에 동조한 점에서 형이상학의 전역사가 개입되고 있다. 플라톤에서 시작된 형이상학은 니이체 사상에 이르러 최후의 코스를 거치면서 서양철학 전체의 과정에 그의 그늘을 내리고 있다. 니이체는 마침내 음영 아닌 대지에 나오게 되었음을 공언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끈질기게 다시 본래의 그 그늘에 서는 것을 다시 묻게 된다. 플라톤 철학은 하나의 물음 부호와도 같아서 니이체의 말처럼 너무나 검고, 너무나 괴물 같아서 그것을 기술하려는 누구에게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어떤 경계의 근접까지도 궁..

사유(思惟) 2024.02.11

니체철학에서 인식/해석과 존재

니체철학에서 인식/해석과 존재 백 승 영 1. 들어가는 말 이 글은 니체의 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에 대한 사유를 해석(Interpretation)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해석 개념이 니체에게서 비로소 철학적으로 본격적인 주목을 받는 개념임은 주지하다시피 가다머에 의해1), 그리고 니체 철학내에서 해석 개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뢰비트2)와 야스퍼스3)에 의해 언급되었었다.4) 그러나 해석 개념이 니체 철학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위치는 이들이 언급하는 이상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석 개념은 1881년도 이후의 “생성의 철학(Philosophie des Werdens)”5) 혹은 생성에 대한 긍정의 철학(Philosophie der Affirmation)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니체 ..

사유(思惟) 202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