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론1] 주님 승천 대축일·홍보 주일 - 지상에서 영원히 우리와 함께하시는 주님
제1독서 사도 1,1-11 / 제2독서 에페 1,17-23 / 복음 마태 28,16-20
“함께 있겠다” 제자들에게 약속 후 승천하시고
성령 통해 세상 모두의 내면에 살아 계시며
우리 곁에서 고난 함께하시는 예수님께 찬미를
발행일2023-05-21 [제3344호, 19면]
![](https://blog.kakaocdn.net/dn/lKn4o/btsgpZjLarI/nyK6xehKFk9IAGY3NEIzxK/img.jpg)
그 무엇도 주님과 우리를 갈라놓을 수 없습니다
오늘 주님 승천 대축일에 제자들은 주님과 또 한 번의 이별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번 이별은 지난번 이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지난번 헤어짐이 고통과 슬픔의 이별, 엄청난 상처와 충격, 큰 두려움을 가져다준 데 비해, 이번 이별은 축제의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마치 부모님 효도 관광 여행 떠나는 분위기입니다. 영영 이별, 이제 떠나가면 다시 못 뵐 마지막 작별이 아니라 또 다른 만남을 전제로 한 잠깐의 이별입니다.
스승님과의 첫 번째 이별 때의 분위기가 기억납니다. 떠나가시는 예수님께 대한 예의도 전혀 갖추지 못했습니다. 작별인사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목숨이 두려웠던 제자들은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후환이 두려워 멀리멀리 도망치기도 했습니다. 비겁하게 골방에 숨어서 전해오는 소식을 듣곤 했습니다. 제자로서의 도리를 전혀 갖추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이별은 철저하게도 다른 분위기입니다. 예수님 부활 체험 이후 그제야 눈이 밝아진 제자들, 늦게나마 귀가 뚫린 제자들은 비로소 예수님의 실체를 파악하게 됩니다. 이제야 드디어 그분께서 만물의 창조주이자 생명의 주관자이심을 알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제대로 된 신앙고백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모든 것이 명명백백해졌습니다. 제자들은 두려움을 떨치고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더 이상 그들을 가로막는 장애물은 없었습니다. 남은 것은 오직 하나, 죽기 살기로 예수님을 전하는 일뿐이었습니다. 이러한 제자들이었기에 승천하시는 예수님을 기쁜 얼굴로 보내드릴 수 있었습니다.
비록 스승님께서 자신들을 떠나가지만, 제자들은 한 가지 진리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제 더 이상 그 무엇도 스승과 제자 사이를 갈라놓을 수 없다는 진리 말입니다. 그 어떤 권력자도, 그 어떤 두려움도, 죽음조차도 스승과 제자 사이를 떨어트려 놓을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게 됐습니다. 비로소 제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그 어떤 상황에서나 스승께서는 자신들과 함께하시리라는 사실을 완전히 파악하게 됐습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역시 더 이상 혼자가 아닙니다. 더 이상 외로워할 필요도 없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나를 소외시킨다 할지라도 그분께서 나와 함께 계시니 크게 신경 쓸 것도 없습니다. 그저 그분께서 내 일생 전체에 걸쳐 함께해주실 것이니 감사하고 기뻐하며 찬양 드리는 일, 그것만이 우리가 할 일입니다.
오늘 첫 번째 독서에 등장하는 두 천사의 질문이 계속 제 머릿속에 남아있습니다. “갈릴래아 사람들아, 왜 하늘을 쳐다보며 서 있느냐?”(사도 1,11) 이 말이 제겐 이렇게 들리더군요. ‘너는 왜 아직도 왜 뜬구름 속에서 살고 있느냐? 왜 움직이지는 않고 그럴듯한 미사여구만 늘어놓느냐?’
어쩔 수 없는 교회의 본래 모습은 하늘만 쳐다보는 모습이 아니라, 인간 세상 한복판으로 내려가는 모습입니다. 죄와 타락과 고통이 뒤엉킨, 그래서 짜증나고 힘겨운 인간 세상 한가운데로 내려가는 것이 교회의 사명입니다. 과거 교회는 보통 도시의 한가운데, 가장 높은 언덕 위에 위풍당당하게 자리 잡곤 했습니다. 세상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둔 높은 곳에 고색창연하게 서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영성에 따르면 교회는 세상 가장 낮은 곳에, 인간 세상 가장 한복판에 자리 잡아야 합니다. 교회는 죄인들을 까마득한 교회의 첨탑 위로 끌어올리기보다, 죄인들이 득실대는 삶의 현장 한가운데로 스며들어야 합니다. 주님께서 사라진 까마득히 높은 하늘로 향했던 우리들의 시선을 이제 이 세상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돌릴 때입니다. 왜냐하면 바로 그곳에 승천하신 주님께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떠나시지만, 더 가까이 계시는 주님
언제나 지극히 제한적이고, 매사가 찰라 같은 인간 만사이기에, 늘 아쉽고 허전한 우리에게 주님께서 남기신 유언(遺言)은 얼마나 은혜롭고 감사한 것인지 모릅니다. 지상 생활을 마치고 떠나시는 분들이 자녀들이나 남은 사람들에게 남기는 유언들은 소중하고 의미 있는 것이긴 하지만, 동시에 무척이나 아쉽고 덧없기만 합니다.
그러나 우리 주님께서 남기신 유언은 전혀 차원이 다른 말씀입니다. 참으로 큰 위로와 힘이 되는 말씀입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 28,20) 보십시오! 3년이나 5년 정도, 10년이나 20년간이 아닙니다. ‘세상 끝 날까지!’입니다. 세상 끝 날까지 우리와 함께 계시며, 우리 삶의 중심이 되어 주시겠다는 주님 말씀에 큰 감사의 정이 솟구칩니다.
우리와 함께하시겠다는 말씀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이 세상에서 우리가 겪는 고통을 함께 겪으시겠다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힘겨워 눈물 흘릴 때 옆에서 함께 눈물 흘리시겠다는 것입니다. 철저하게도 우리와 삶을 공유하시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입니다. 매일의 구체적인 우리네 일상사 안에서 주님께서 함께 동고동락하시겠다는 굳은 결심입니다.
예수님의 승천은 또 한 번의 작별로 인해 슬퍼하는, 아쉬워하는 순간이 절대 아닙니다. 그보다는 승천을 통해 당신의 실체를 명확하게 보여주신 대사건에 감사하며 행복해하는 순간입니다. 뿐만 아니라 승천하실 주님께서는 고맙게도 더 큰 결속력으로 우리와 결합하시기 위해 협조자 성령을 우리 각자에게 선물로 주실 것입니다. 당신을 대신할 협조자, 아니 당신 본인이신 성령을 우리 친구로, 도우미로 관계를 맺어주시고 떠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비록 떠난다고 말씀하시지만 사실 전보다 더 우리와 가까이 계십니다. 성령을 통하여 우리 각자의 안으로 들어오셔서 제대로 당신 자리를 잡으십니다. 우리 내면의 주인이 되어 오십니다. 뿐만 아니라 이 세상 끝날 때까지 우리 안에서 영원히 살아 숨 쉬실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 매일의 십자가 무게가 너무 무거워 벅찰 때면 바로 옆에서 함께 십자가를 짊어주실 것입니다. 우리가 세상에서 고난을 겪을 때마다 우리와 함께 나란히 서서 같이 고난을 겪으실 것입니다. 오늘 우리 하루하루의 삶이 고통의 연속이고 비틀비틀, 좌충우돌한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힘을 내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살레시오회
[강론2] 주님 승천 대축일 - 주님 승천은 더할 나위 없는 임마누엘
![](https://blog.kakaocdn.net/dn/ctgVHy/btsglztaIK8/pHmbEc2D8hpssyHm8DjyOk/img.jpg)
“나는 하늘과 땅의 모든 권한을 받았다.”(마태 28,18)
우리는 ‘하늘로 오르시어 성부 오른편에 앉으시며 심판자로 오실 주님’을 고백합니다. 무덤의 부패를 겪지 않고 하늘로 오르신 분이 두 분 더 있습니다. 종말 때 나타나리라는 엘리야 예언자와 성모님이십니다. 주님의 심판대에 설 때, 엘리야 예언자가 검찰관 역할을 한다면, 성모님은 우리를 적극적으로 변호해 주실 것입니다. 사도행전은, 주님이 하늘에 오르시는 것을 사실적으로 묘사합니다. 시야에서 사라져가는 주님을 보고 제자들은 어떤 심정이었을까요? 자신들과 멀어진다고 여겼을까요?
1. 승천은 역설적인 주님의 현존
주님의 승천은 세상과의 결별이 아닙니다. 주님은 땅에 존재하는 것들을 축복하고 들어 올려주기 위해서입니다. 쏘아 올려진 인공위성이 지구 곳곳 모든 이들에게 소통의 도구가 된 것처럼 승천하신 주님은 세상 모든 이들에게 당신 구원의 빛을 보내십니다. 바오로 사도는 승천을 이렇게 말합니다. 하느님께서 만물을 주님의 발아래 굴복시키시고 주님을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가 되게 하셨다.(에페 1,22 참조)
주님의 승천은 역설적으로 더할 나위 없이 함께하시는 ‘임마누엘’ 사건입니다. 요셉 성인의 꿈에 나타나 천사가 들려준 전갈은 ‘임마누엘’이었습니다. 이 전갈로 요셉 성인은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들였고,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실 수 있었습니다. 천사가 들려준 임마누엘을 주님은 지상 삶을 끝으로 다시 한 번 굳게 약속하십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20절)
‘함께’는 한 공간에 얼굴을 맞대고 머무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갓난아기는 엄마 품에서 태어나 자라고 어린이가 되어서도 엄마 곁을 떠나지 않으려 합니다. 그러나 점차 엄마를 모기지(母基地) 삼아 점차 행동반경을 넓혀 나갑니다. 나중엔 언제나 함께함을 믿고 독립하게 됩니다. 제자들도 밥상머리 양성과정을 마치고, 세상에 파견되어 사명을 수행해야 합니다. 안전장치로 주님은 보호자 성령을 보내주십니다. 그분은 주님이 언제나 함께하심을 깨닫게 해주십니다.
2. 선교 사명; 사랑의 신비 속에 잠기게 하라
승천하시는 주님을 바라보는 제자들에게 천사들이 말합니다. “너희를 떠나 승천하신 저 예수님께서는 너희가 보는 앞에서 하늘로 올라가신 모습 그대로 다시 오실 것이다.”(사도 1,11) 우리의 삶은 주님 승천과 주님 재림 사이의 삶입니다. 삶에는 불림이 있고 그에 따른 사명이 있습니다. 주님은 승천 직전, 재차 사명을 확인해주십니다.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여라.”(19-20절)
엄청난 선교 사명입니다. 세상 모든 이를 천주교 신자로 만들려 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님이 우리에게 가르치고 명령한 계명은 다름 아닌 사랑입니다. 성삼위께서 보여주신 그 사랑의 신비 속에 모든 이들이 잠기게 하라는 명령입니다.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로 고백하는, 인류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주님은 당신이 받은 하늘의 모든 권한을 우리에게 주십니다.(18절) 의심하는 우리에게 맡기고 멀리 떠나가십니다. 그러나 언젠가는 돌아와 셈을 하실 것입니다. 마태 25장의 탈란트 비유를 명심해야 합니다. 힘껏 노력하고 능력(탈란트)을 십분 발휘해야 합니다. ‘세상 끝날까지 언제나 함께하시겠다’라는 주님을 믿고 과감하게 삶을 던져야 합니다. 셈을 바칠 (심판) 땐, 우리를 못내 사랑하시는 변호인 성모님도 계십니다. 누구든지 가진 자는 더 받아 넉넉해진다 했습니다. 용기 있는 자를 말합니다.
“승천하시어 하늘로 오르신 주님! 당신은 아니 계신 곳 없이 두루 계십니다. 당신의 염원도, 당신의 권한도 우리 것입니다. 당신의 사명도 우리 것입니다. 당신이 함께하심을 믿고 용기 있게 우리 삶을 던지겠나이다. 성삼위께서 보여준 사랑의 신비 안에서 만나는 모든 이들을 사랑하겠나이다.”
-
![](https://blog.kakaocdn.net/dn/E4kHy/btsguDIJZwa/XBlIA6hsK6nkBJk2YgWK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IxbR/btsgufOP3CW/gnntbFWDoTi2gLrV5uST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1suA/btsguiEITfa/qKt4trQVQqQZ1x7R0bc96k/img.jpg)
'백서(帛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은 예수 성심 성월] 물을 길으리라(Haurietis Aquas) (0) | 2023.05.28 |
---|---|
[성령 강림 대축일]2023년 5월 28일 (0) | 2023.05.20 |
[5월은 성모 성월]성모신심의 방향성/요제프라칭거 (0) | 2023.04.29 |
[주님 부활 대축일]2023년4월9일 (0) | 2023.04.08 |
[파스카 성야 성토요일]2023년4월8일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