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愛

타샤의 정원

나뭇잎숨결 2009. 1. 21. 07:34

 

 

  "아마에서 실을 잣는 것도 중요하지만,쪽 고른 실을 얻는 것은 더욱 중요하지요.신발을 벗으면 곧 물레의 리듬에 익숙해져요." - 타샤 튜더 

 

 

 

 

 

 

 

 


 

"장작 난로들은 굉장히 독특해요. 뜨거운 부분과 서늘한 부분을 파악해서 잘 맞춰 써야 된다니까요. 보기보다 까다롭지요." 

 

난로에는 집을 지을 때 붙박이로 넣은 벽돌 오븐이 있고, 타샤는 종종 그 오븐에 빵이나 콩을 굽는다. 먼저 숲에서 주워온 잔가지로 불을 피우고, 깜부기가 다 탄 후에야 재를 긁어낸다. 그런 다음에는 벽돌이 약간 식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구우려는 것을 안에 넣는다. "우선 안에 밀가루를 뿌려보죠. 밀가루가 타면 벽돌이 아직 너무 뜨거운 거예요." 보통은 맛좋은 것들을 연이어 구워낸다. 벽돌 오븐은 이틀쯤은 구울 수 있을만큼 뜨겁기 때문이다.

 

 

 

 

 

 

 

 

 

 

 


 

 

 

 

 

 


 

 

 

 


 

 

 

 

부엌을 포함해서 방마다 새장이 있다.타샤는 새의 노래가 꼭 필요하거든요 라고 말한다.

 


 

 

타샤는 작은 올빼미를 수십 마리 만들었지만 똑같은 모양이 없다.모두 주둥이는 해바라기씨지만, 각각 독특한 표정을 갖고 있다.


 


 

 


 

 

 

 

 

 

 

책표지를 클릭하시면 창을 닫습니다.

  

다른 사람이 가꾼 정원을 참고해서 만든 정원은 없습니다. 스스로 생각해서 내가 좋다고 생각한대로 만들어온 나의 정원이지요. 정원의 설계도도 만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괜찮을 것 같아서 심은 것도 생각만큼 잘 안 되면 다른 것으로 바꿔 심었고, 오솔길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그 자리에 얼른 길을 만들어버리기도 했지요. 그래서 우리 집 정원에는 가다가 길이 끊기는 오솔길도 있답니다. -13쪽

내가 30대였을 때, 어느 식물학 교수의 훌륭한 정원을 가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던 적이 있습니다. 들어보니 만들어진지 20년이 지난 정원이라고 하더군요. 나 또한 식물이 풍성하게 자라나 아름다운 꽃을 즐길 수 있기까지 몇 년이고 어려움을 참고 견뎌야 한다고 처음부터 각오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요. 정원은 하룻밤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최소한 12년은 참고 기다려야 하지요. -17쪽

식물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떻게 해주면 식물이 기뻐할지도 생각합니다. 처음 심는 식물은 같은 것을 세 개씩 사서 서로 다른 장소에 심어본 후, 가장 잘 자라는 장소에서 불려간답니다. 여러해살이식물을 심어 저절로 씨앗이 퍼져나가게 해주는 것도 재미있지요. 새나 바람이 씨를 옮겨주어 이듬해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싹을 틔워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면 가슴이 두근두근거리고는 합니다. -24쪽

나의 정원은 만들어진 지 30년도 더 지났습니다. 지난 세월 동안 거름을 흙에 섞어가며 토양을 화초에 알맞게 변화시켜왔지요. 이곳에 있는 식물들이 보통 이상으로 잘 자라주고 더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이유는, 오랜 세월 땅의 힘을 키워가며 좋은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해온 덕분이기도 하지만 이곳의 자연이 준 선물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91쪽

나는 어렸을 때부터 어머니와 할머니 정원을 도우며 자랐기 때문에 식물에 관해, 특히 나의 정원에서 키워온 식물에 관해서는 꽃의 색이나 형태, 키우는 법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디에 무엇을 심으면 어떤 모습으로 그 공간이 바뀔 것인지도 금세 상상이 됩니다. -185쪽
  

 

   

 

 

 

 
 
 

    

 

 

 

 

 

 

 

 

 

 

 



  

 

 

 

 

 

 

 

 

 

 

 

 

  '정원'은 영원한 로망이다. 대개의 사람들이 꿈꾸는 정원은 형형색색의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고, 그 옆에선 미끈하게 잘 자라준 나무들이 푸릇함을 뽐내는 한 폭의 그림 같은 모습이다. 해마다 봄이면 사람들은 이 닿을 수 없는 '정원의 로망'을 누군가의 손에 의해 가꾸어진 꽃들을 화분째 사는 것으로 대체한다. 하지만 꽃의 이름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물 몇 번 주는 것도 잊어버려 봄이 가기도 전에 말려 죽이기 일쑤다.

 

버몬트 주 산속에서 1971년부터 홀로 정원을 가꾸어온 타샤. 그녀는 '정원에 대해서는 절대 겸손해지고 싶지 않다'고 의기양양하게 말한다. 사계절 내내 쉬지 않고 다채롭게 피어나는 꽃들, 들풀 하나까지도 그녀의 손을 거치지 않는 게 없기 때문이다.

 

타샤에게 정원은 자식 같은 존재다. 식물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떻게 해주면 식물이 기뻐할지 늘 궁리하며 세심하게 정원을 가꾼다. 처음 심는 식물은 같은 것을 여럿 사서 각각 다른 장소에 심어본 후 가장 잘 자라는 장소에서 불려가고, 늦가을이면 정원 전체에 퇴비를 뿌려주며, 추위에 약한 화초는 겨우내 따스한 온실에서 돌본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강도 높은 정원 일을 하지만 그녀는 전혀 힘든 기색이 없다. 그 수고로움에 보답하려고 꽃들이 정원 곳곳에서 피어나 고운 자태와 향을 뽐내기 때문이다. 그러면 타샤는 그 모습에 반하여 얼른 그림에 담는가 하면 고양이처럼 납죽 엎드려 향을 즐긴다. 어떤 꽃을 좋아하냐고 물어오면 모든 꽃이 다 좋다고 답한다는 타샤에게 정원은 삶의 원동력이요 인생의 가장 큰 즐거움이다.

 

타샤는 정원 일에 대해서는 서두르는 법이 없다. 버몬트에 집을 지으면서 정원을 가꾸기 시작한 타샤는 전에 살던 옛집에서 구근들을 옮겨와 심고, 거름을 흙에 섞어가며 화초에 알맞게 토양을 서서히 변화시켜왔다. 버몬트의 차가운 기후에도 잘 견디는 꽃들을 갖은 시행착오 끝에 찾아낸 것은 물론이다. 35여 년이 흘러 93세가 된 지금, 타샤의 정원은 온갖 꽃들과 오래된 나무들이 한데 어우러져 눈부신 향연을 펼치는 지상 낙원이 되었다. 무르익을 대로 무르익은 이 '지상 낙원'은 매혹의 절정을 보여준다.

 

어릴 적 견딜 수 없이 꽃이 좋았다는 그녀, 젊은 시절 정원에의 꿈을 내내 잊지 않았다는 그녀, 56세 되던 해 그림책 <코기빌 페어>가 성공한 덕분에 드디어 땅을 사서 자기만의 정원을 가꾸기 시작했다는 그녀. 우리는 타샤에게서 대단한 성공보다는 꿈을 향해 쉼 없이 노력해온 열정을 본다. 타샤의 정원이 감동을 주는 이유는 꽃들의 아름다움보다 그 뒤에 숨어 있는 땀과 노동과 애정 때문이 아닐까.
손바닥만 한 화분이라도 좋다. 씨앗 몇 알을 구했다면 더더욱 좋다. 직접 손으로 흙을 파고 씨앗을 뿌리고 매일 물을 주면서 꽃들이 활짝 피어날 날을 손꼽아 기다려보자. 그 과정에서 정원 일의 작은 기쁨을 알게 된 것만으로도 먼 훗날 '나만의 정원'을 가꾸는 꿈은 이미 한 걸음 더 가까워졌는지 모른다.
  
 
 

 
 



 

 

 

 

 

 

 

 

 

 

 
.

 http://paper.cyworld.nate.com/damho/1701311

 

 

 

 -----------------

 

 

 

 

 

 

 

'공간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노이슈반스타인城  (0) 2009.03.04
인간의 건축 행위를 말한다.  (0) 2009.02.04
《손 안에 담긴 건축사》  (0) 2009.01.05
Torre Pendente di Pisa  (0) 2008.11.18
퇴계 이황선생의 도산서원을 가다(2)  (0) 2008.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