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里果園(상리과원)
서정주(徐廷柱)
꽃밭은 그 향기만으로 볼진대 漢江水(한강수)나 洛東江(낙동강) 上流(상류)와도 같은 隆隆(융융)한 흐름이다. 그러나 그 낱낱의 얼굴들로 볼진대 우리 조카딸년들이나 그 조카딸년들의 친구들의 웃음판과도 같은 굉장히 즐거운 웃음판이다.
세상에 이렇게도 타고난 기쁨을 찬란히 터뜨리는 몸뚱이들이 또 어디 있는가. 더구나 서양에서 건너온 배나무의 어떤 것들은 머리나 가슴패기뿐만이 아니라 배와 허리와 다리 발꿈치에까지도 이쁜 꽃송아리들을 달았다. 멧새, 참새, 때까치, 꾀꼬리, 꾀꼬리 새끼들이 朝夕(조석)으로 이 많은 기쁨을 대신 읊조리고, 數十萬(수십만) 마리의 꿀벌들이 온종일 북 치고 소고 치고 맞이굿 울리는 소리를 하고, 그래도 모자라는 놈은 더러 그 속에 묻혀 자기도 하는 것은 참으로 當然(당연)한 일이다.
우리가 이것들을 사랑하려면 어떻게 했으면 좋겠는가. 묻혀서 누워 있는 못물과 같이 저 아래 저것들을 비취고 누워서, 때로 갸냘프게도 떨어져 내리는 저 어린것들의 꽃잎사귀들을 우리 몸 위에 받아라도 볼 것인가. 아니면 머언 山(산)들과 나란히 마주 서서, 이것들의 아침의 油頭粉面(유두분면)과, 한낮의 춤과, 黃昏(황혼)의 어둠 속에 이것들이 잦아들어 돌아오는ㅡ 아스라한 沈潛(침잠)이나 지킬 것인가.
하여간 이 하나도 서러울 것이 없는 것들 옆에서, 또 이것들을 서러워하는 微物(미물) 하나도 없는 곳에서, 우리는 섣불리 우리 어린것들에게 설움 같은 걸 가르치지말 일이다. 저것들을 祝福(축복)하는 때까지의 어느 것, 비비새의 어느 것, 벌 나비의 어느 것, 또는 저것들의 꽃봉오리와 꽃숭어리의 어느 것에 대체 우리가 항용 나직이 서로 주고받는 슬픔이란 것이 깃들이어 있단 말인가.
이것들의 초밤에의 完全歸巢(완전귀소)가 끝난 뒤, 어둠이 우리와 우리 어린것들과 山(산)과 냇물을 까마득히 덮을 때가 되거든, 우리는 차라리 우리 어린것들에게 제일 가까운 곳의 별을 가리켜 보일 일이요, 제일 오랜 鐘(종)소리를 들릴 일이다.
|
|
'사유(思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이야기 (0) | 2007.08.01 |
---|---|
기무설사(寄無說師) (0) | 2007.07.14 |
피천득 선생님의 영면을 기도드리며... (0) | 2007.05.26 |
불교 생명사상에 관한 한 고찰 (0) | 2007.05.17 |
무아설과 윤회설의 문제 (0) | 200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