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 / 이성부
내가 걷는 백두대간 133
작은 산이 큰 산 가리는 것은
살아갈수록 내가 작아져서
내 눈도 작은 것으로만 꽉 차기 때문이다
먼데서 보면 크고 높은 산줄기의 일렁임이
나를 부르는 은근한 손짓으로 보이더니
가까이 다가갈수록 그 봉우리 제 모습을 감춘다
오르고 또 올라서 정수리에 서는데
아니다 저어기 저 더 높은 산 하나 버티고 있다
이렇게 오르는 길 몇번이나 속았는지
작은 산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나를 가두고
그때마다 나는 옥죄어 눈 바로 뜨지 못한다
사람도 산속에서는 미물이나 다름없으므로
또 한번 작은 산이 백화산 가리는 것을 보면서
나는 이것도 하나의 질서라는 것을 알았다
다산은 이것을 일곱살 때 보았다는데
나는 수십년 땀 흘려 산으로 돌아다니면서
예순 넘어서야 깨닫는 이 놀라움이라니
몇번이나 더 생은 이렇게 가야 하고
몇번이나 더 작아져버린 나는 험한 날등 넘어야 하나
내가 걷는 백두대간 110
내 서러움이 매를 맞아 풋울음을 운다
내가 나를 두들기는 손에 주름 잡힌 힘 있어
내 노여움이 터져나오는 쇳소리도 때려잡아 순한 황소울음으로 바꾼다
내가 알맞게 추스리는 것은 소리가 가야 할 길
멀리 널리 되살아나게 하는 일
우리나라 김천 징소리는 산줄기를 닮아 부드럽게 일어나 춤을 추며 넘실거린다
벅찬 사랑 닮아 치달렸음이여
슬픔과 노여움이 산같이 쌓인 뒤에라야 오는 고요함처럼
그 뒤를 따라가는 내 발걸음처럼 이 울음은 내가 무담시 내지르는 소리 아니다
* 울음잡기 : 방짜 징을 만들 때 쇠를 두들겨 소리를 가다듬는 일 풋울음 : 울음잡기를 할 때 처음으로 나는 소리 무담시 : 까닭없이, 괜히 등으로 쓰이는 전라도 말 사랑이 말을 더듬거렸다-
내가 걷는 백두대간 113
산이 땅바닥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산을 일구며 올라간다
이 산을 따라가는 내 발걸음도 갈수록 무거워
나는 내가 버겁다
가장 아름다운 사람은 손쉽게 오지 않는 법이다
그럴듯한 수사나 바람둥이 같은 매끄러움 부려도 오지 않는 법이다
이 산을 가운데 두고 이쪽 저쪽 사람들 서로 서먹서먹했다마음을 열지 못했다
나지막한 고개가 뚫리면서부터 사랑도 오고 갔으나 말을 더듬거렸다
그래서 눌의산이 되었음일까
지금은 이기슭으로 철도가 지나가고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국도와 옛 길도 나란히 달린다
오랜 어려움 끝에 오는 아름다운 사람이 이리 너그럽고 이리 편안하다
* 눌의산 : 추풍령 서쪽에 있는 산. 해발743m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 : 다산 정약용이 일곱살 때 지었다는 한시 '小山蔽大山 遠近地不同'에서 빌려옴 백화산 : 경북 문경시와 충북 괴산군 경계에 소소은 산. 해발 1065m
'시(詩)와 詩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급되고 있다/김성호 (0) | 2020.08.09 |
---|---|
사랑과 열병의 화학적 근원 / 박정대 (0) | 2020.08.09 |
물속에서/진은영 (0) | 2020.08.02 |
어느 푸른 저녁/기형도 (0) | 2020.08.02 |
인기척/이병률 (0) | 202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