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LLNESS SPEAKS
Chapter 1 침묵과 고요
When you lose touch with inner stillness, you lose touch with yourself. When you lose touch with yourself, you lose yourself in the world. 내면의 고요와의 접촉하는 법을 잃게되면 그대는 그대 자신과 접촉하는 법을 잃게 된다. 그대 자신과의 접촉하는 법을 잃게 되면 그대는 세상 속에서 그대 자신을 잃게 된다.
Your innermost sense of self, of who you are, is inseparable from stillness. This is the “I Am” that is deeper than name and form. 존재의 심연에 있는 나의 자아는 고요함으로부터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이름이나 형상보다 훨씬 더 깊은 차원에 존재하는 '나의 실체'이다.
Stillness is your essential nature. What is stillness? The inner space or awareness in which the words on this page are being perceived and become thoughts. Without that awareness, there would be no perception, no thoughts, no world. 나의 실체는 고요함이다. 고요함은 무엇인가? 바로 지금 내가 읽고 있는 이 글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사고로 변환시켜주는 내면의 허공이며 맑은 마음이다. 맑은 마음이 없다면 나는 인식하거나 사고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맑은 마음이 없다면 이 세상도 없다. 내가 바로 맑은 마음이다. 잠시 사람의 모습으로 변장한 맑은 마음이다.
The equivalent of external noise is the inner noise of thinking. The equivalent of external silence is inner stillness. 바깥의 소란은 내부 생각의 소란함이요, 바깥의 고요함은 안의 고요이다.
주변에 잠시라도 고요함이 내려앉을 때면 귀를 기울여 보라. 다가온 고요함을 바라보고 주시하라. 밖의 고요함에 귀를 기울이면 안의 고요함이 깨어난다. 마음이 고요해져야 주변의 고요함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See that in the moment of noticing the silence around you, you are not thinking. You are aware, but not thinking. 밖이 고요함을 알아차리는 그 순간 내 안에 아무런 생각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주시하라. 다만 온 마음으로 바라볼 뿐 아무런 생각도 없다.
When you become aware of silence, immediately there is that state of inner still alertness. You are present. You have stepped out of thousands of years of collective human conditioning. 밖의 고요함을 의식하는 순간 안의 고요함이 깨어난다. 비로소 당신은 지금 여기에 존재하게 된다. 그 순간 당신은 수천년 동안 되풀이해온 인류의 습관을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Look at a tree, a flower, a plant. Let your awareness rest upon it. How still they are, how deeply rooted in Being. Allow nature to teach you stillness. 나무를 보라. 꽃과 풀을 보라. 당신의 맑은 마음을 그 위에 살며시 올려놓아라. 나무는 얼마나 고요한가. 꽃은 얼마나 생명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가. 자연에서 고요함을 배우라.
When you look at a tree and perceive its stillness, you become still yourself. You connect with it at a very deep level. You feel a oneness with whatever you perceive in and through stillness. Feeling the oneness of yourself with all things is love. 나무를 바라보며 그 안의 고요함을 인식할 때 나도 고요해진다. 나는 깊은 차원으로 나무와 연결된다. 고요함 속에서 그리고 고요함을 통해서 인식한 모든 것과 나는 하나가 되었음을 느낀다. 그렇게 세상만물과 내가 하나임을 느끼는 것이 참사랑이다.
Silence is helpful, but you don’t need it in order to find stillness. Even when there is noise, you can be aware of the stillness underneath the noise, of the space in which the noise arises. That is the inner space of pure awareness, consciousness itself. 밖의 고요함은 안의 고요함을 찾는 데 도움은 되겠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밖이 소란해도 소란함을 한 꺼풀만 걷어내면 바로 그 아래에 고요함이 있고. 소란함이 생겨나는 공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곳이 바로 순수의식이 거하는 곳, 온전히 맑은 마음이 거하는 내 안의 허공이다. You can become aware of awareness as the background to all your sense perceptions, all your thinking. Becoming aware of awareness is the arising of inner stillness. 지각 작용과 생각을 한 발짝만 넘어서면 거기 맑은 마음이라는 바탕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맑은 마음을 알고나면 내면에 고요함이 차오른다.
Any disturbing noise can be as helpful as silence. How? By dropping your inner resistance to the noise, by allowing it to be as it is, this acceptance also takes you into that realm of inner peace that is stillness. 실은 밖의 고요함 뿐 아니라 소란함마저도 도움이 된다. 어째서인가? 소란함에 대한 마음의 저항을 털어버리고 소란함을 있는 그대로 존재하도록 내버려둘 수 있을 때 그런 수용이 당신을 내면의 평화로운 허공으로, 고요함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Whenever you deeply accept this moment as it is - no matter what form it takes - you are still, you are at peace. 지금 이 순간이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든 그대로 깊이 수용할 때마다 나는 고요해진다. 나는 평화로워진다.
Pay attention to the gap - the gap between two thoughts, the brief, silent space between words in a conversation, between the notes of a piano or flute, or the gap between the in-breath and out-breath. 고요한 순간을 주목하라. 하나의 생각이 가고 또 하나의 생각이 아직 다가오기 전의 고요한 순간, 대화 중에 생겨나는 짧고 고요한 공백, 피아노나 플루트 연주곡을 들으면서 음과 음 사이에 존재하는 고요한 순간, 그리고 들숨과 날숨 사이에 존재하는 고요한 순간을 주시하라.
When you pay attention to those gaps, awareness of “something” becomes - just awareness. The formless dimension of pure consciousness arises from within you and replaces identification with form. 그러한 고요한 순간을 주시할 때 '무언가'를 인식하던 마음은 그저 텅 빈 맑은 마음이 되어 내면에 형상을 초월한 순수의식의 차원을 깨운다. 형상이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하던 과거의 당신은 이제 없다.
True intelligence operates silently. Stillness is where creativity and solutions to problems are found. 진정한 지혜는 고요함 속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창의력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고요함 속으로 들어가라.
고요함이란 다만 소음이 없는 것. 안에 내용물이 없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고요함은 지혜이며 모든 형상이 태어나는 근원적 의식이다. 그럴진대 어떻게 그것이 본연의 나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겠는가? 내가 본연의 나라고 생각하는 나의 형상, 즉 나의 몸이 실은 그로부터 나왔고 그로부터 생명 에너지를 받고 있다.
It is the essence of all galaxies and blades of grass; of all flowers, trees, birds, and all other forms. 고요함은 은하계의 뭇 별과 온갖 풀잎들의 실체이다. 이 세상 모든 꽃들과 모든 나무들과 모든 새들과 모든 형상을 가진 것들의 실체이다.
Stillness is the only thing in this world that has no form. But then, it is not really a thing, and it is not of this world. 이 세상에서 형상을 여읜 유일한 존재가 고요함이다. 하지만 고요함은 물질이 아니며 이 세상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When you look at a tree or a human being in stillness, who is looking? Something deeper than the person. Consciousness is looking at its creation. 지금 나는 고요함 속에 머무르는 나무나 인간을 보고 있다. 여기서 보는 자는 누구인가? 그것은 나라는 사람이 아니라 훨씬 더 깊은 곳에 있는 무엇이다. 여기서 보는 자는 바로 순수의식이다. 순수의식이 손수 창조해낸 것들을 순수의식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이다.
In the Bible, it say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saw that it was good. That is what you see when you look from stillness without thought. 성경에 신이 이 세상을 창조하였고 그것을 보니 좋았더라는 말이 있다. 생각이 끊어진 고요함 속에서 내가 보는 세상 역시 그러하다.
Do you need more knowledge? Is more information going to save the world, or faster computers, more scientific or intellectual analysis? Is it not wisdom that humanity needs most at this time? 좀더 많은 지식이 필요한가? 좀더 많은 정보가 세상을 구원하는가? 아니면 좀더 빠른 컴퓨터, 좀더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한가? 하지만 인류에게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지혜가 아닐까?
But what is wisdom and where is it to be found? Wisdom comes with the ability to be still. Just look and just listen. No more is needed. Being still, looking, and listening activates the non-conceptual intelligence within you. Let stillness direct your words and actions.
Introduction
A true spiritual teacher does not have anything to teach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he word, does not have anything to give or add to you, such as new information, beliefs, or rules of conduct. The only function of such a teacher is to help you remove that which separates you from the truth of who you already are and what you already know in the depth of your being. The spiritual teacher is there to uncover and reveal to you that dimension of the inner depth that is also peace. 진정한 스승은 아무 것도 가르칠 것이 없다. 진정한 스승은 아무 것도 더하거나 줄 것이 없다. 진정한 스승은 새로운 정보나 믿음, 규범 같은 것을 주는 사람이 아니다. 진정한 스승은 당신의 본연의 모습을 가리는 것, 존재의 심연에서 당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진리와 당신 사이에 가로놓인 무언가를 스스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이다. 스승은 내면의 깊은 차원, 평화로움을 드러내 당신에게 보여주기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다.
If you come to a spiritual teacher - or this book - looking for stimulating ideas, theories, beliefs, intellectual discussions, then you will be disappointed. In other words, if you are looking for food for thought, you won't find it. And you will miss the very essence of the teaching, the essence of this book which is not in the words but within yourself. It is good to remember that, to feel that, as you read. The words are no more than signposts. That to which they point is not to be found within the realm of thought but a dimension within yourself that is deeper, and infinitely vaster than thought. A vibrantly alive peace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at dimension. So whenever you feel inner peace arising as you listen, the book is doing it work and fulfilling its function as your teacher. It is reminding you of who you are and pointing the way back home. 만일 당신이 이 책을 찾음에 있어 스승이나 또는 스승을 대신할 무언가 흥미로운 아이디어나 이론 또는 믿음을 얻을 수 있는 지성적인 토론을 원한다면 실망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색의 대상을 찾는다면 이 책에서는 그런 것을 찾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가르침마저 놓칠 것이다. 진리는 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 안에 들어있다. 이 책을 읽어나가며 그것을 늘 기억하고 종종 실감하기 바란다. 말은 진리로 이르게 하는 길잡이에 불과하다. 말이 가리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봐야 한다. 이 책은 첫 페이지부터 끝 페이지까지 읽고 난 다음 한쪽에 제쳐두는 그런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종종 집어 들고 책에서 시키는 대로 해봐야 하는 책인 것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가끔씩은 이 책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는 책을 읽고 있는 시간보다 그저 손에 들고 있는 시간을 더 늘리는 일이다. 한 문단이나 단락이 끝날 때마다 당신은 자연스럽게 읽었던 것을 멈추고 차분히 내면을 성찰하며 고요함을 느낄 것이다. 언제나 읽는 것보다는 멈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 책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습관적으로 생각의 쳇바퀴를 돌리는 오랜 습관을 떨쳐버릴 수 있기 바란다. 이 책은 기록으로 전하는 가장 오래된 가르침인 고대 인도의 경전에서 그 형식을 빌려 현대에 알맞게 바꾸었다. 경전은 비유법이나 짧은 경구 등을 사용하여 진리를 가리킬 뿐 지적 개념을 설하지는 않는다. 베다나 우파니샤드, 붓다의 말씀은 모두 경전 초기의 성스러운 가르침이다. 예수의 이야기도 서술적 맥락을 제거하고 나면 경전으로 볼 수 있고, 고대 중국의 지혜를 담은 도덕경의 심오한 가르침 역시 그러하다. 경전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사고를 부추기지 않는다. 경전에서는 말한 것보다 말하지 않은 것이 더 중요하다. 무엇을 가리키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 이 책의 글은 경전의 성격을 가지며 특히 제1장의 간결한 단락들은 더욱 그러하다. 제1장은 책 전체의 핵심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일부 독자들은 1장만 읽어도 충분할 것이다. 나머지 장들은 좀더 많은 길잡이를 필요로 하는 독자들을 위한 것이다. 고대 경전이 그러하듯이 이 책의 글도 성스럽다. 모두 다 내면의 고요함 즉 순수의식의 상태에서 나온 글이다. 한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이 책의 글이 특정 종교나 전토에 속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글에는 약간의 긴박감이 더해졌다. 이제 인간 의식의 전환은 더 이상 소수의 개인에게만 가능한 사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이 자신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으려면 지금 당장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대는 낡은 의식의 몰락과 새로운 의식의 등장이 한꺼번에 가속화되고 있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모든 것이 나빠지면서 동시에 또 좋아지고 있는 것이다. 비록 나빠지는 것이 심히 소란을 떨기 때문에 좀더 눈에 띄기는 하지만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