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일:4월26일 성녀 프란카 비살타 / 복녀 알다(알도브란데스까)
[이콘]주무시지 않는 눈. 팔레히(Palech)화파. 제작년도 1797. 32x27.5cm
이 성화(Icon)의 주제 (主題)를 금색의 글씨로 그림의 윗 가장자리에 다음과 같이 써넣었다.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자는 졸지도 아니하고 주무시지도 아니하시리이다." 이 문장은 시편 121편에서 인용한 것으로 어린 그리스도를 어린 사자에 비유한 기독교 생리학자들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잠자리에 누운 그리스도의 왼쪽에 성모를, 오른쪽에 대천사 미카엘을 묘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의 양편 윗 모서리에는 해와 달이 보인다. 그림의 가장자리 네모서리를 축소화적인 금장식으로 정교하게 꾸몄으며, 아랫 가장자리 중앙에 있는 성화의 제작년도를 기입한 빨간색의 글씨판의 가장자리를 바로크 액자처럼 금 장식으로 꾸몄다.
매우 희귀하고 장식적인 묘사법을 사용한 회화적 수준이 극치에 달한 작품이다. *유럽 聖畵(ICON)集에서
축일:4월26일 성녀 프란카 비살타 St. Franca Visalta, OSB Cist. Abbess (AC) Santa Franca di Piacenza Born:1170 at Piacenza, Italy Died :1218 Canonized:by Pope Gregory X (cultus confirm!ed) Franca = libera, dall’antico tedesco = free, dall’antico German
프란까 비잘따가 피아첸짜의 성 시로 수도원에 들어갔을 때에는 불과 7세였고, 14세 때 서약하였다. 어린 프란까이지만 다른 모든 자매들에게 올바르게 순종하는 법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신심과 극기에서도 뛰어났다. 그 후 원장으로 피선된 그녀에게 한 동안은 모든 일이 잘 되는 듯 하였다. 그러나 더 많은 세월을 중상과 모략으로 고생하였고 또 심적인 번민으로 괴로움을 당하였다. 그녀는 시토회의 규칙을 따르는 엄격한 가난을 지켰고, 밤마다 성당에 가서 기도하며 지내는 시간이 자는 시간보다 더 많았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성녀는 이미 7세때 하느님께 스스로 자신을 봉헌했고 어린나이에 베네딕도 수도원에 입회했다. 성 시로(S. Siro)의 베네딕도 수녀원의 원장이었다. 성녀는 수도회의 개혁과 조국의 안녕을 위해 헌신하셨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베네딕도 성인의 십자가
아빠스. 라틴어 abbas.영어 abbot. 여성형은 `아빠티사’ 라틴어 abbatissa, 영어 abbess 대수도원장. 의전 사제 수도회와 대수도원의 장에 대한 호칭이자 직함. 동방 수도원에서 수도자들이 자신들의 지도자이자 영성적 스승을 `아빠’(abba)라고 부르던 데서 유래하였다. 이 말은 특히 성 베네딕토의 수도 회칙에 의해 서방 수도원에 소개되었다. 이를 분류해 보면, 그 수도원 내에서만 완전한 재치권을 향유하는 일반 아빠스(abbas regularis de regimine), 수도원이 속해 잇는 특정 지역 전체의 모든 성직자와 평신도에까지 실제적 자치권을 갖는 면속 아빠스, 한수 족의 장을 가리키는 총아빠스, 근대에서 베네직토 연합회의 장을 가리키는 수석 아빠스 등이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아빠스"란 무슨 뜻인가?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르는 수도회들 즉 베네딕도회, 시토회, 트라피스트회 등과 아우구스띠노 엄률수도회 들 일부 특정 수도회에 속한 자치 수도원의 원장을 일컫는 명칭이다.
아바스는 「아버지」「원로」「장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집트나 시리아 등 동방지역에서는 「영적 아버지」「영적스승」「사부」의 의미로 은둔 또는 독거 수도자들의 스승을 일컫는 데 사용되었다.
아빠스는 수도원의 최고 장상으로서 교회의 상급 장상(superior major)이기도 하다. 따라서 아빠스는 수도원과 관련된 일에 대해 결정권을 가지며, 재산 관리권, 입회자 청원자 수련자들을 받아들이는 권한도 가진다.
선거에 의해 선출된 아빠스는 『한번 아빠스가 되면 영원한 아빠스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종신직이다. 즉 수도원장직에서 퇴임해도 아빠스의 명칭은 그대로 보유하는 것이다. 새로 선출된 아빠스는 일반적으로 주일이나 축일에 지역주교에 의해 축복된다. 주교직과는 달리 아빠스직은 서품도 아니고, 성사도 아니며, 아빠스들 사이의 「성사적 연대성」도 없다.
*성 베네딕도 아빠스(서방 수도생활의 스승) 축일:7월11일.인창동성당게시판1267번. *에집트의 성 안또니오 아빠스(공동체 수도 생활의 스승 혹은 시조,사막의 교부)축일:1월17일.게시판1572번. *성 골룸바노 아빠스(성골롬반 외방선교회 주보성인.프랑스의 뤽세이우 및 이탈리아의 보비오 대수도원장) 축일:11월23일.게시판1486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시토회 세 창립자
(가톨릭대사전에서)
수도생활(修道生活, 라:vita religiosus,영:religious life)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가 된 그리스도교인들은 모두 그리스도를 따르라는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는다. 수도생활은 바로 이 부르심에 응답하는 여러 방법들 중 하나이다. 수도생활이란 그리스도를 보다 철저하게 따르기 위하여 자기를 포기하는 삶이다. 이 자기포기는 보통 가난, 정결, 순명의 세가지 서원으로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컬어 수도자(religiosus)라 하며, 남자는 수사(修士), 여자는 수녀(修女)라고 한다.
다양한 수도회들 역사 : 교회 초창기부터 재산을 포기하고 독신을 지키며 교회에 봉사하기 위해 개인의 욕망을 포기한 동정녀들과 금욕자들이 있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의 수도 생활이 시작된 것은 4세기 이후부터이다. 수도생활 운동은 교회의 세속화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 일어났는데 당시 열심한 신자들은 도시를 떠나 사막과 광야로 들어가 특수한 삶의 양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들 중 에집트의 성 안또니오(Antonius)가 대표적 인물로서 그는 은수생활의 창시자이자 모든 수도자들의 아버지라 불리운다. 초기 동방 수도생활은 외딴 곳에 홀로 사는 은수생활과 함께 모여 사는 공생수도생활, 그리고 서로 가까이 모여 사는 반은수생활 등 세가지 형 태가 공존하였다. 이 동방 수도생활은 서방에 영향을 미쳐 성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이 생겨났고, 이 규칙서는 이후 서방 수도생활을 지배하게 되었다.
수도승생활(修道僧生活, 영: Monastic life , Monasticism) 수도생활 초기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적인 수도생활을 의미한다. 즉 그리스도를 더욱 철저히 추종하고 오로지 하느님을 찾기 위하여 세상으로부터 물러나 사막이나 광야로 들어간 은수자들이나 독수자들의 삶의 전통을 잇는 수도생활을 말한다.
수도승생활을 하는 수도자를 우리말로 수도승(修道僧)이라 하는데 수도승(Monachus, Monk)이란 말은 원래 불교 용어이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수도자(Religious)라는 개념에 포함되면서도 승려적 생활전통을 따르는 수도회들에 속한 수도자를 따로 지칭할 때 그리스도교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이 말은 그리스어 ’monos’(홀로)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결혼하지 않은 자’ 또는 ’독신자’란 의미에서 ’홀로 사는 사람을’나타내었다. 따라서 처음에는 광야에서 살던 ’은수자’(Hermit, Eremita)나 ’독수자’(Anchorite, Anachorita)를 가리켰는데 점차 그 의미와 내용이 발전하면서 후에는 ’회수도승’(會修道僧. Cenobite, Cenobita)까지 포괄하는 단어가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수도승’이라 할 때 일반적으로 까말돌리회, 실베스트로회, 발롬브로사회, 올리베따노회 등 베네딕도회 연합에 속한 수도회들, 시토회, 트라피스트회, 카르투시오회에 속한 수도자들을 일컫는다.
베네딕도회 성 베네딕도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남녀 수도회들(congregations)의 연합체(confederation)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솔렘 연합회, 수비아꼬 연합회, 몬떼까시노 연합회, 오딜리아 연합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까말돌리 연합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발룸브로사 연합회 등이 있다 시토회와 엄률시토회(트라피스트)는 베네딕도 수도규칙을 따르지만 베네딕도회에는 속하지 않는다.
성 베네딕도(480-560년경)는 이탈리아의 누르시아에서 탄생하였다. 그는 진실로 하느님을 찾고자 세상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수비아꼬 동굴에서 3년 동안 은수생활을 한 후, 몬떼까시노에 수도원을 세우고, 거기서 수도규칙서(Regula Benedicti : RB)를 저술하였다. 이 규칙서는 이후 서방 수도승생활의 초석이 되었다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회홈에서)
![]()
|
'백서(帛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28일 복자 루케치오와 보나돈나 부부/몽포르의 성 루도비코 마리아 사제 (0) | 2009.04.29 |
---|---|
4월27일 성녀 지타 동정 (0) | 2009.04.29 |
말씀이 꿀보다 더 달았나이다 (0) | 2009.04.25 |
4월24일 성녀 마리 유프라시아 펠티에 / 성녀 보나(보바)와 도다 축일 (0) | 2009.04.24 |
4월23일 아시시의 복자 에지디오(질스) / 성 제오르지오 순교자 (0) | 2009.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