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일: 9월25일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성 세르지오(세르게이)/성 알베르토 주교/성녀 아우렐리아와 성녀 네
![]()
축일:9월20일(9월17일,9월25일)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 SAINT FRANCIS MARY OF CAMPOROSSO CAPUCHIN LAY BROTHER St. Francis Mary Camporosso, OFMCap
1804년 12월 27일 임페리아 근교에서 태어났다.
1866년 9월 17일 자신도 콜레라에 감염되어 세상을 떠났다. (작은형제회홈에서)
그는 리구리아 해안의 소도시인 캄포로쏘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8세 되던 해에 그는 꼰벤뚜알 수도자 한 분을 우연히 만나 자신의 성소를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가 세스트리 뽀삔떼 수도원에 갔으나 3회원으로 받아 들여졌을 뿐이다. 더욱 엄격한 생활을 원하던 그는 즉시 이곳을 떠나 카프친회에 들어갔고, 여기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을 얻고 서원하였다.
평수사인 그는 주로 병자를 돌보는 일을 하다가, 원장의 지시를 받고 탁발을 시작하였으나 마음에 들지 않아 고통이 뒤따랐다. 어떤 때에는 빵대신 돌을 주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10년 동안이나 겸손하게 탁발한 결과 뛰어난 성덕을 닦을 수 있었다.
그는 "빠드레 산또", 즉 성인 신부로 통할만큼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고, 그의 덕을 흠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1866년, 제노아 지방에 콜레라가 창궐하였을 때, 그는 앞뒤를 가리지 않고 환자들을 돌보다가 자기 자신도 희생자가 되어 하느님의 품에 안겼다. 1929년에 시복, 1962년에 시성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타우(T)는 그리스어 알파벳의 아홉 번째, 그리고 히브리어의 스물 두 번째, 즉 마지막 글자이다. 타우는 성서적으로 ’하느님의 것’이란 표지요 ’구원의 표’로 인식되었다.
이에 대한 언급은 에제케엘 예언서에 나온다. "이마에 표(타우)가 있는 사람은 건드리지 말아라"(에제 9,6). 여기서 말하는 타우 표시는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름으로써 이스라엘 백성들이 에집트에서 구원되었듯이(출애 12, 21-28 참조), 타우 표를 지니는 사람은 구원의 표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타우 표시는 성서적인 표지일 뿐 아니라 로마의 까따꼼바들에서도 볼 수 있는 것으로 오랜 그리스도교 전통을 지니고 있다.
*카푸친수도회성인들Capuchin Franciscans
![]()
![]() 이콘]라도네츠의 세르게이 성인에게 나타나신 성모 The Presentation of Mother of God to St. Sergius of Radonezh’s 러시아 야로슬라블(Jaroslavl)화파.18세기.목판 템페라.30.7x27cm
러시아의 위대한 수도자 중 라도네츠의 성 세르게이에게 성모님께서 사도 베드로와 사도 요한을 대동하시고 발현하신 기적을 묘사한 성화이다. 중앙상단에는 삼위일체가, 좌우 테두리에는 각기 디미트리와 에프도키아 성녀가 그려져 있으며, 성 세르게이 뒷편 상단에는 카잔의 성모와 니콜라이 성인의 성화가 보인다. 성 세르게이 옆은 세르게이의 제자이다. 기적을 묘사한 성화 중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으며, 색감이 평온하여 마음을 가라앉게 한다. -The Russian Icons.INSPIRED ART-황규완,장긍선편저.
축일:9월 25일 성 세르지오(세르게이) St. Sergius of Radonezh’s San Sergio di Radonez Rostov, 1314 c. - Monastero della Trinity,25 settembre 1392 ABBOT OF HOLY TRINITY (25 SEPT 1392) Sergio =che salva, custodisce, seminatore, dal latino Fu canonizzato in Russia prima del 1449.
러시아의 귀족 가문 출신인 성 세르지오는 로스토프에서 태어나 바르톨로메오란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15세 때에 그는 모스크바 통치자들의 로스토프 침략을 피하여 정처없이 온가족이 떠나야 했다. 그들은 모든 것을 잃어버린 후, 모스크바 교외인 라도네즈에서 농사를 지으며 지냈다. 1335년, 부모와 사별한 세르지오와 그의 형 스테파노는 마코프카에서 은수 생활을 하다가, 수도원으로 들어가서 세르지오란 수도명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러시아의 혹독한 추위를 견디며 은수생활을 계속하였으므로, 그의 성덕이 널리 알려졌다. 이때부터 제자들이 몰려들므로, 세르지오는 유명하게 된 "성삼 수도원"을 세워 원장이 되었고, 또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는 타타르족의 침략 이후 사라졌던 러시아에 수도공동체를 재건한 것이다.
그 후 그는 헤르쟈크강변에서 은수자 생활을 하던 중, 모스크바의 총주교 알렉시스의 부름을 받았으며, 모스크바의 드미뜨리 돈스코이 왕자는 세르지오의 권고에 따라 타타르족과 싸워서 러시아를 해방시키게 되었다. 이 승리 이후 그의 명성은 더욱 퍼져나갔고, 러시아 왕가의 협조는 매우 관대하여 수많은 교회와 수도원을 짓게 되었다. 1378년, 그는 모스크바 총주교 임명을 끝내 사양했고, 또 1392년에는 자기 수도원의 원장직도 사임한 후 6개월 만에 서거하였다. 성 세르지오는 러시아 최대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성 세르게이는 러시아의 어려운 시대에 살았으며(1314-1392) 몽고치하에서 조국과 민족을 해방시키고 러시아를 새로이 창건하는 일에 깊이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성 세르게이는 1314년 5월 3일, 로스토프에서 출생하였고 40일 째 되는 날, 바르폴로메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습니다. 세례성사 주례자 미카엘 신부는 부모에게 "기뻐하십시오, 이 아기는 성 삼위 하느님의 일꾼으로 선택받았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본당 신부님의 예언은 적중되었습니다. 그 후 일곱 살이 되어서는 수도원에서 읽는 것과 쓰는 것을 배우기 시작했지만 자연의 아름다움과 고요함을 더 좋아하였습니다. 바르폴로메오는 글을 읽거나 쓰는 일에는 형제들이나 친구들에 비하여 공부 못하는 아이로 뒤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은 크게 걱정을 하며 공부하라고 자주 꾸중도 하였습니다. 선생님도 특별한 배려로 지도하였습니다. 그래도 바르폴로메오의 공부 성적은 낙제점이 었습니다.
부모님은 수사님을 반갑게 잘 모셔들이고서는 바르폴로메오가 커서 무엇이 될까? 하며 크게 걱정하였습니다. 그런데 글을 잘 읽지 못하던 바르폴로메오는 즉시 글을 읽기 시작했고 한 시간 동안이나 소리내어 읽었습니다. 수사님은 "걱정하지 마시오. 이 어린이는 장차 하느님 앞에서 훌륭한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특별히 성 삼위일체 하느님의 일꾼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는 그 나이 많은 수사님은 떠나가시고 다시는 만날 수 없었습니다. 그 나이 많은 수사님은 천사였습니다.
바르폴로메오는 20세의 나이에 하느님의 소명을 실천하기 위하여 형 스테파노와 함께 라도네쮜 숲 속으로 들어가서 은수 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형 스테파노는 일찍 홀아비가 되었음) 광야의 숲 속에서 은수(隱修) 생활을 한다는 것은 정말 고통이었습니다. 늑대, 곰 등 야수의 위협과 추위 그리고 배고픔, 특히 겨울철에 식량구입문제는 너무나 어려웠습니다. 형 스테파노는 도시근교 수도원으로 옮겼으나 바르폴로메오는 홀로 광야의 숲 속에서 은수 수행을 계속하면서 침묵과 기도 중에 수도자 서원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바르폴로메오는 23세 되던 해, 1337. 10. 7, 성 순교자 세르게이 축일에 세르게이라는 수도명을 받고 정식 허원 수사가 되었습니다.
하루는 수도자들이 세르게이를 스타렛쯔(장상 또는 수도원장)로 선출했습니다. 그러나 세르게이는 자기는 수행능력이 없다고 원장직 수락을 하지 않았습니다. 세르게이는 이 문제를 주교님과 상담하는 중에 주교님은 "형제는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성 삼위일체 수도원의 책임자로 점지되었으니 매사를 순명으로 받아들이시오."라고 말하고는 세르게이를 이끌고 성당으로 가서 첫 날에는 차부제로, 이튿 날에는 부제로 마지막 날에는 리뚜르기야 중에 사제로 서품 하였습니다.(1343) 세르게이는 원장이 된 후 첫 설교로 마태오 복음 7:13, "좁은 문으로 들어가거라....." 시편 34:11, "젊은이들아, 와서 내 말을 들어라. 두려운 마음으로 야훼를 섬기는 길을 가르쳐 주마." 갈라디아서 5:22-23,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행, 진실, 온유, 절제...."에 대하여 가르침을 하였습니다.
성 세르게이가 라도네쮜 광야의 숲 속에서 홀로 시작한 은수처는 스키트로 발전하였고 스키트는 수도원으로, 그 다음에는 전국에서 가장 큰 대수도원(라브라)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성 세르게이 생애의 외적인 패턴은 에집트의 성 안토니오의 생애를 연상하게 합니다. 성 세르게이는 농부생활을 하면서 가난한 이들이 입는 남루한 옷을 즐겨 입는 자기 겸허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세르게이는 모스크바의 대공과는 가까운 친구였습니다. 그는 모스크바 도시를 확장하도록 권했습니다. 그리고 디미트리 돈스코이 대공이 러시아군대의 최고 지도자로 쿨리코프 전쟁에 출전하기 전에 성 세르게이를 방문했다는 것은 깊은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성 세르게이 생전에는 이러한 수도원 중심 새마을이 40여 개가 형성되었으며 그의 사후에는 그의 제자들에 의해 50여 개가 형성되었습니다. 성 세르게이와 그의 후예 수도자들은 탐험가이며 개척자였을 뿐 아니라 선교사였습니다. 그들이 만나는 원주민은 바로 선교의 대상이었습니다. 성 세르게이는 성 그레고리오 팔라마스와 동시대 사람으로서 헤시카즘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특별히 수도자들에게는 신앙적, 신비적 체험을 하게 하면서 원시림을 개척해 들어가면서 새로운 사람들을 선교의 대상으로 만나도록 독려하였다. 그는 수도생활을 사회. 경제적인 면과 신앙. 신비적인 양면을 잘 조화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전 러시아 정교회 곧 전체 국민들에게 미쳤습니다. 그리고 그는 정치적으로 모스크바 중심 러시아를 타타르의 압제에 대항하여 해방을 쟁취하자고 독려하였습니다. 성 세르게이 시대에 이어 200년간(1350 -1550)은 러시아 정신문화 발전의 황금기라 합니다. 그래서 성 세르게이를 새 러시아의 창설자라 호칭합니다.
성 세르게이와 그 후계자들은 종교예술 분야, 특히 "이콘"분야에 눈부신 활동을 하였습니다. 라도네쮜의 성 삼위 이콘은 안드레이 류블레프가 그린 작품인데 성 세르게이를 기념하기 위한 것임에는 분명합니다. 성 세르게이가 안식에 든 후 61년째 되는 해에 비잔티움 제국은 터키 지배하에 들어갔습니다. 비잔티움은 한 때 스스로를 하느님 나라의 이콘으로 착각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사탄의 심한 장난은 마치 의인 욥을 고난과 죽음의 질곡으로 몰아넣었듯이, "하느님은 없다 !"라고 미친 듯이 소리지르며 날뛰던 무신론자들, "그리스도의 적들"이 하느님의 교회를 약탈 파괴하고 하느님의 백성을 이유 없이 구타 폭행하며 수를 헤아릴 수조차 없는 수 많은 백성들의 피를 흘리게 하고 죽였습니다. 새 순교자들과 목숨을 잃은 이들의 수는 수천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21세기의 러시아정교회는 나라를 재건하고 항구적 세계평화 구현,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의 평화가 전 인류의 가슴에 충만하도록 크게 기여해야 하겠습니다. 바로 이 은혜의 시대에 라도네쮜의 성 세르게이의 신앙과 정신은 다시 이해되고 발전되어야 하겠습니다. (대한정교회홈에서)
![]()
The Rule of Saint Albert (The Carmelite Rule)
알베르토는 '고귀하고 빛남'이란 뜻이다. 그는 외교적인 수완이 아주 뛰어났기 때문에, 1187년경, 사라센인들이 예루살렘을 재공격할 때,
The Rule of Saint Albert
![]()
성녀 아우렐리아와 성녀 네오미시아 ![]()
축일: 9월 25일 성녀 아우렐리아와 성녀 네오미시아 Sante Aurelia e Neomisia 동정 이탈리아
동료 성녀 네오미시아St.Neomisia와 함께 로마 성지를 순례함. 순례중 하느님께서는 천둥, 태풍을 만나게 하시고 그들을 회교도에서 구해주셨다고 합니다. 성녀아우렐리아는 마체라따 근처의 동굴에서 은수생활을 하셨음.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 사랑과 평화의샘 http://cafe.daum.net/lcg420 |
'백서(帛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27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 (0) | 2008.09.27 |
---|---|
9월 26일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순교자 (0) | 2008.09.26 |
9월 24일 성 파치피코 사제 기념일 (0) | 2008.09.24 |
9월23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 성 리노 교황 순교자 (0) | 2008.09.23 |
9월22일 성 마우리시오 축일 (0) | 2008.09.22 |